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영국 Sussex대학의 이질소와 유기금속화학 연구에 대한 개별적 현황(A personal account of some dinitrogen and organometallic chemistry research at the University of Sussex)

전문가 제언
□ 1960년대 초 루테늄이질소 복합체 합성을 시작한 이후 유기금속 복합체와 이질소에 대한 연구는 각종 전이원소의 복합체와 이질소 및 질소고정효소와 연계한 분야에 많은 연구업적을 보였다.

□ Green chelate로 불리는 레늄킬레이트를 합성하여 지식의 보고로 인정받았고, 화학식량이나 등전자 원리를 이용한 몰리브덴이질소 복합체나 올레핀치환반응 모델을 적용하여 이질소 복합체 시리즈를 고안하여 활용성을 증대시키기도 하였다.

□ 질소고정 단위에 전자화학 기술을 응용하여 이질소가 암모니아로 전환에 따른 새로운 촉매반응의 개발과 니오브, 탄탈 및 티탄의 사이클로카르보닐을 합성하여 몰리브덴과 텅스텐의 이산화탄소, Formato 및 수산화카르벤 복합체 등 이질소와의 반응성을 제시하였다.

□ 질소고정과 관련된 이질소화학에서는 15N으로 이질소 환원반응규명 및 효소와 관련된 양성자와 전자간의 역할과 신규물질의 전자반응 해독으로 단핵물질의 생성과정과 이질소로부터 암모니아에 이르는 각 단계별 순환반응 공정을 입증하기도 하였다.

□ 몰리브덴과 산화상태에서의 단일금속을 이용한 질소고정 효소반응과 이질소의 양성자반응에서 페로시닐 유도체와의 치환반응 및 질소고정효소 대체물질로 불리는 알킨과 사이클로프로핀의 환원반응을 규명하였다.

□ 유기금속화학은 복합체의 특성을 이용한 각종 천연화합물이나 의약품합성 및 촉매작용을 활용한 공업용원료생산 및 유기금속화합물 자체 연구나 생체내의 역할적 연구로 대별되나, 생물학적 금속 복합체의 연구는 그 활용가치나 연구영역이 광범위하며 각종효소와 연계된 독성물질 해독 등 생명의 기본연구에 집중되고 있어서 향후 연구발전이 기대된다.
저자
Leigh, GJ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689(24)
잡지명
JOURNAL OF ORGANOMETALLIC 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999~4005
분석자
한*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