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제올라이트 막을 통한 투과증발법의 기초와 응용(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of pervaporation through zeolite membranes)

전문가 제언
□ 투과증발법으로 증류, 추출, 흡착/흡수 분류공법으로는 분리하기 어려운 혼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투과증발법은 공비물, 비등점이 근접한 물질의 혼합물, 열에 민감한 물질, 저농도 물질의 분리에 장점이 있다. 투과증발 중에는 혼합물의 일부분만이 증발하며, 증류에서 필요한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진행된다. 또 막은 흡수제를 재생할 필요없이 계속 가동되고, 모듈식이어서 설계 시 융통성이 있다. 이런 장점 때문에 막을 사용하는 공정은 산업계에 경제적인 매력이 있다.

□ 본문의 문헌 목록을 보면 일본인의 보문이 의외로 많음이 눈에 띈다. 일본이 막 기술분야의 선진국임을 짐작케 한다. Sulzer Chemtech GMH 홈페이지에 의하면 2000년말 현재 130여 공장이 건설, 가동중이다. 투과포화법으로 분리 또는 탈수하는 제품 또는 용역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알코올(7종), 케톤(3), 아민(3), 에스테르(3), 에테르(5), 유기산(1), 니트릴(1), 방향족(3), 지방족(6), 염화 탄화수소(2)등을 홍보하고 있다. 미국 정부에서도 제올라이트 막을 이용한 에너지 절약 신공정개발을 적극 유도하고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국내에서는 투과증발법이나 제올라이트 막에 대한 기술보문이나 정책을 찾기 힘들다.

□ Dr. Bowen 일행이 논문에서 건의한 분야에 우리도 참여하고 기여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국내에도 위에서 열거한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이 있다면 새로운 기술로 대체하는 타당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종래 증류공정보다 에너지를 35% 절감할 수 있다 한다. 아직 실용화는 안 되었지만 p-크실렌 공정의 경우 종래법보다 75%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하는 보고도 있다.

□ 제올라이트 막을 사용하고 응용하는 수요, 특히 대규모 산업용으로 계속 증가할 것이다. 제올라이트 막과 관련기술은 꾸준히 개선, 발전할 것이다. 현재 국내의 시장규모, 막 제조 또는 수요자들, 성장률은 어떻고, 향후 이 기술과 시장의 발전 전망을 예측하고, 외국 선발주자와의 협력과 경쟁력 배양 방안에 대한 전반적이고 거시적인 조사 연구가 바람직하다.
저자
Bowen, TC; Noble, RD; Falconer, JL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245(1-2)
잡지명
Journal of Membrane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33
분석자
이*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