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초기설계 개발기간 동안 설계공간 커버링 및 평가하는 방법(Methods for evaluating and covering the design space during early design development)

전문가 제언
□ 설계공간탐색(DSE) 기술을 포괄적으로 고찰해 볼 때 두 가지 전통적인 문제분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 문제분야는 (1)단일설계평가 (2)설계공간의 커버링이다. 오늘날 DSE 업무는 통상 여러 가지 설계 제약사항 하에 고 수준 통합문제를 취급한다. 이러한 문제는 자원할당의 자동화, 자원에 대한 계산과 통신의 결합, 운영일정 등을 포함한다. 시스템적 탐색은 통상 기능성(functionality), 아키텍처와 매핑(mapping)의 관계는 명백히 분리되어 Y-chart 형태를 따라 접근한다.

□ DSE 방법에는 파레토 최적전략, 목적/비용기능 및 측정기준 사용, 설계공간 커버링을 위한 전략, 설계공간 프루닝(pruning), 자동 DSE 기능성 지원 등의 기법이 있다. DSE를 위한 설계 프레임워크(framework)는 추상개념의 상이한 수준 상에서 아키텍처와 애플리케이션 분야를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수준 프레임워크, 마이크로-아키텍처에 초점을 맞추고 단일처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서 아키텍처 설명 언어(ADLs)를 기초로 하고 있는 마이크로아키텍처 중추적 프레임워크, 그리고 기타 탐색처리를 통합하는 프레임워크가 있다.

□ 균형적 취사선택 문제에서 주요 고려요소는 단일설계 처리시간, 평가정확도, 설계공간범위의 질(質)이다. 설계 복잡성이 증가하면, 평가시간도 증가하고, 보다 정밀한 정확도를 요구한다면, 평가시간이 길어진다. 또한 이동/실행 시간과 설계공간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 DSE 접근방법 벤치마크는 여러 DSE 접근방법에 대한 우수성을 식별하기 위해서 타당한 정량적 비교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 최근 많은 학술활동이 자동 매핑과 공간커버링 방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장차 진행될 탐색 방향은 탐색복잡성을 감소시키는 것이라 하겠다. 분석모델을 적용하여 설계공간의 개략적 특성을 추출하는 지식영역을 사용하여 더 바람직스럽게 통합한다면 최적해에 수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개략적인 개개 특성에 타당한 전문가의 의견을 계층적 분석방법으로 수렴하여 가중치를 부여하고 이를 토대로 DSE를 적용한다면 어느 정도 최적해에 가까운 해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질적 가중치는 전문가의 의견수렴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자
Gries, M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4
권(호)
38(2)
잡지명
INTEGRATION-THE VLSI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131~183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