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60 모노머 및 고분자의 구조, 상전이 및 배향의 특성(Structures, phase transitions and orientational properties of the C-60 monomer and polymers)
- 전문가 제언
-
□ Kroton 등에 의해 최초 그 존재가 알려졌고 Kratshmer에 의해 대량 생산이 가능해진 C60(플러렌, fullerene)은 과학자들에게는 새로운 미지의 분야로 인식되어 활발한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한 활발한 연구의 결과 탄소 나노튜브와 나노구조의 발견 등으로 다양한 물질군의 나노소재가 개발되었다.
□ 플러렌과 그 유도체들은 탄소만으로 이루진 둥근 공 모양으로써 분자의 구조와 모양이 특이한 물리화학적 성질을 나타낸다. 탄소들은 대부분 sp2결합 전자배치(흑연) 또 일부의 탄소는 공 모양의 곡면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sp3결합 전자배치(다이아몬드)를 하고 있다. 플러렌은 전하밀도가 높아 친전자성 공격을 받기 쉬우며 고상에서 반응하여 이량체, 1D, 2D 및 3D의 중합체들을 형성할 수 있다.
□ 플러렌은 분자간 약한 반데르발스 힘이 작용하므로 압력의존성이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고압 및 고온의 조건하에서 다이아몬드와 대등한 경도가 아주 높은 탄소의 집합체를 만드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들의 최종 목적은 다이아몬드의 합성이 될 것이다.
□ 플러렌과 그 유도체들은 많은 종류의 원자나 이온과 결합하여 초전도성, 반자성체 및 절연체을 만들 수 있으므로 이들의 특수한 전자특성을 이용한 첨단 전자부품의 재료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고부가가치 재료이다.
□ 현재 플러렌 및 유도체의 실용화 노력이 당초의 기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으나 앞으로 고기능성 재료로서의 가능성이 크다. 플러렌 및 그 중합체를 포함한 보다 합리적인 합성법 및 복합재료 개발을 목표로 하는 기초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이 재료의 합성 및 활용을 위한 연구에 집중적인 투자와 연구체제의 관리가 요망된다.
- 저자
- Moret, R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5
- 권(호)
- 61
- 잡지명
- ACTA CRYSTALLOGRAPHICA SECTION 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62~76
- 분석자
- 마*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