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간질중적증상의 역학에 대한 체계적 검토(A systematic review of the epidemiology of status epilepticus)

전문가 제언
□ 간질은 신경성 뇌질환 중 뇌졸중 다음으로 심각한 질병으로서 이를 치료하기 위하여 수많은 합성 약물들이 개발되어 주 증상인 발작(경련)을 억제하려는 노력이 경주되어 왔으나 아직도 조절되지 않는 발작은 문제점으로 남아있으며 해결해야할 과제의 하나이다. 뇌의 뉴런의 비정상적 발현에 기인하는 간질은 heterogenous하여 되풀이되는 발작 특히 발열성 경련(fabrile convulsion)의 억제가 문제의 초점이 된다.

□ 간질은 그 발작양상이나 기전으로 보아 전신발작(general seizure)과 부분발작(partial seizure)으로 대별되며 특히 전신발작 중 간대성대발작이 큰 문제이며 본 글에서 거론된 간질중적증상(SE)은 그 치사율이나 사망률 때문에 심각성이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다양한 합성약물 특히 히단토인계 약물들이 개발되어 임상에서 쓰이고 있으나 간질은 그 병인으로 볼 때 범위가 넓어서 하나의 약물이 전체의 간질증상을 성공적으로 억제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고 더구나 장기투여에서 오는 심각한 독성 특히 배아기형 발생, 투여중지, 과잉복용 등의 부작용 등은 항 간질약물의 애로점이다.

□ SE가 생명을 위협하게 되는 것은 주로 약물의 과량투여를 요구 하는데서 오는 독성의 유발이며 특히 노인에서 심장 혈관계(혈압, 동맥혈 리듬), 호홉기계(운동실조, 기능저하), 대사계의 이상을 초래하게 된다.

□ Shin 등은 천연물 유래의 안전한 항 간질약 개발을 목적으로 전형적인 전간작용 측정모델인 pentetrazole 및 electroshock seizure test를 이용하여 천연 약물에 대한 검색을 실시 한 결과 Piperaceae 속 식물 추출물에서 유의한 억제작용을 확인하고 그 유효성분을 탐색한 결과 알칼로이드 성분인 piperine임을 구명하였다. 이 물질은 해열, 소염, 진통, 기타 부반응이 심하다는 것이 밝혀져서 임상진입에 실패한 경험이 있다. 부작용이 경감되고 우수한 약리활성을 갖는 보다 안전한 신약이 천연물에서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저자
Chin, RFM; Neville, BGR; Scott, RC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11(12)
잡지명
EUROPEAN JOURNAL OF NEUR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800~810
분석자
신*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