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녹농균 감염에서의 녹농소의 역할(The role of pyocyanin in Pseudomonas aeruginosa infection)

전문가 제언
□ 녹농균(綠膿菌)에 의해서 생성되는 녹농소(PCN ; Pyocyanin)는 산화환원 활동에 이차적 대사물질로서 녹농균에 감염되어 낭포성 섬유종(cystic fibrosis)이 있는 환자의 타액(唾液)에 많은 양(量)이 있음이 밝혀지고 있으며 녹농소(綠膿素)는 여러 가지 세포기능(細胞機能)을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임상 감염 시 이에 대한 중요성은 분명치 않은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 낭포성 섬유종(囊胞性纖維腫)은 미국에서 연간 30,000명 이상이 걸리는, 백인종 사이에서 가장 흔한 치사 유전 장애(致死 遺傳障碍)중 하나로서 기도(氣道)의 감염을 촉진시켜 사망과 패혈증을 초기에 일으키며 항생제에 내성(耐性)을 가져와 폐 이식(肺移植)시 거부반응과 사망을 유도할 수 있는 중대한 임상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 녹농균의 감염에 의해 생성되는 여러 가지 병인성(病因性) 요인에 있어서 녹농소에 대한 작용기전을 규정짓기 어렵기 때문에 발병하게 되며, 녹농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 세포경로(細胞經路)는 아직까지 거의 밝혀져 있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규명 연구가 요망된다.

□ 녹농균은 혐기성(嫌氣性) 호흡과정을 통해 빠르게 생장하며 기도점막(氣道粘膜)에서 적절한 양으로 존재하나 녹농소의 독성이 산소분자(酸素分子) 존재에 의존적인지의 여부와 녹농소가 강한 혐기성 조건하에서 항생성(抗生性)을 갖는지의 여부는 아직 의문시 되고 있다.
저자
Lau, GW; Hassett, DJ; Ran, HM; Kong, FS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10(12)
잡지명
Trends in Molecular Medicine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599~606
분석자
최*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