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원전달용 생분해성 고분자 미소구의 제형 연구(Formulation aspects of biodegradable polymeric microspheres for antigen delivery)
- 전문가 제언
-
□ 미소구의 제조방법은 단량체로부터 시작할 때는 현탁중합, 유화중합, 분산중합, 계면중합이 있고, 고분자 자체로부터의 제법에는 현탁가교, 응집/상분리, 용매증발/추출, 침전, 킬레이션, 용융사출, 분무건조가 있다.
□ DDS(약물전달시스템)용 미소구는 균일상 또는 겔 상태의 미소구, 모노리틱 미소구, 단핵 저장형태 미소구, 다핵 저장형태 미소구, 복층 코어 미소구, 다층피복 미소구가 있으며, 이들의 형태는 약물의 물성, 약물의 원하는 방출 형태, 투여형태, 환자의 상태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 생분해성 고분자를 항원의 마이크로스페어용 벽재로 사용하면 장기간 항원이 방출되며 마이크로캡슐의 서방성으로 인하여 면역성이 지속적이 된다.
□ DDS용 마이크로캡슐의 벽재 고분자는 생분해성이 있어야 하므로 주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며 대표적인 것이 poly(D,L-lactide-co-glycolide)(PLGA)이다. 이외에 폴리펩타이드, 단백질(알부민, 젤라틴, 콜라겐 등), 다당류(전분, 키토산, 히아루론산) 등이 있다.
□ lactic acid와 glycolic acid의 공중합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소수성이 조절되어 항원의 방출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항원의 안정성과 방출성을 조절하는 방법 중에 두 가지 이상의 친수성이 다른 고분자를 블렌드하는 방법이 있다.
- 저자
- Tamber, H; Johansen, P; Merkle, HP; Gander, B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5
- 권(호)
- 57(3)
- 잡지명
-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57~376
- 분석자
- 고*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