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2004년도 직업상 접촉 피부염의 예측(The prognosis of occupational contact dermatitis in 2004)

전문가 제언
□ 현재 ‘피부염’이라는 단어는 ‘습진’이라는 말과 유사하게 이해되고 있다. 이는 피부의 염증반응으로 가렵고 피부가 빨개지는 질환이다. 피부의 가장 밖의 부분이 아주 빨개지며, 붓고 두꺼워지며 진물이 나온다. 피부염에는 내생적(체질적)인 혹은 외부적(접촉) 요인이 있다. 양자 모두 자극 또는 알레르기성 접촉반응, 혹은 두 가지 이유로 발생한다. 피부염은 이밖에도 여러 병인(病因)이 있으며 Staph. aureus와 같은 박테리아에 의해서도 악화된다. 손의 습진은 항상 그 발생 이유를 조사할 필요가 있고 발생원을 평가해야 한다. 아토피(체질적)성 손의 습진은 내생적 습진의 대표적인 예이다.

□ 접촉 피부염에는 두 가지로 분류하는데, 광(光) 접촉 피부염과 접촉 두드러기로 구별한다. 본문에서 다룬 직업성 피부염은, 염증 반응이 온전히 직업성 접촉이나 직업성 요인으로 피부에 자극을 일으켜 발생하는 것이다. 보통 주로 손에 피부염이 나타나며 어떤 때는 팔 전체로 퍼지기도 한다. 공기 중 접촉요인이 있으면 얼굴에도 나타난다. 접촉 피부염은 피부 질병의 60%이며 이는 다시 전체 직업상 얻은 질병의 40~70%가 된다.

□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은 환경의 알레르기원을 전부 실험해 보기전에는 질병의 항원을 알기 어렵다. 이는 패치실험의 양성반응과 직업경력으로 진단된다. 직업성 알레르기원으로는 고무 가황 촉진제, 포름알데히드, 파마약, 에폭시 단량체, 크롬화합물, 그리고 식물 알레르기원인 sesquiterpene와 락톤 등을 들 수 있다.

□ OCD의 향후 과제는, 가장 중요한 원인들을 확인하여 표적화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또 in vitro의 피부 모델과, 동물실험에 의한 약동력학적 시험을 통한 개선된 통계 모델이 필요한 실정이다. 각 각의 물질 및 혼합물에 의한 피부 삼투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도 개선되어야 한다. 현재 이러한 전제적인 연구 결과들의 결여는, 피부염의 자극제들을 제거하거나 알레르기원을 안전한 물질로 대체하는 치료법 등을 실행할 수 없게 한다.
저자
Cahill, J; Keegel, T; Nixon, R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51(5-6)
잡지명
CONTACT DERMATITIS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19~226
분석자
이*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