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위장관의 미생물총은 면역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가?(Does the microbiota regulate immune responses outside the gut?)

전문가 제언
□ 인간의 장내 미생물총은 흔히 말하는 각 개인의 체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한 요소로 작용한다. 최근의 연구에서 미생물총은 숙주의 면역계를 조절함으로 다양한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유효하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장내 미생물 중 건강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미생물제제인 생균제(probiotics)는 어린이의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생균제의 기전을 이해하기 위하여 세포 및 분자 생물학 기법을 사용한 면역조절 작용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사람의 장관에는 약 500종류의 100조에 달하는 장내세균이 정착하여 장내균총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균총은 항생제 사용, 노화, 영양불량, 스트레스 등에 의하여 쉽게 변동될 수 있다. 여러 가지 질병에서 장내균총의 이상이 발견되기 때문에 장내균총의 유지안정은 질병 위험의 감소에 중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특히 생균제는 숙주의 면역조절 작용을 통하여 예방의학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 Probiotics의 섭취는 염증성 장질환이나 알레르기 환자의 비정상적인 장내균총을 개선하며 Th1/Th2의 균형을 정상화함으로 이들 질환의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probioticsdp 의한 NK세포의 활성화는 암 발생 예방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robiotics는 매우 안전하며 유제품이나 발효식품에 쉽게 이용될 수 있는 식품 소재로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건강의 유지 및 증진에 도움이 된다.

□ Penicillin의 발견 이후 항생제는 인간과 가축의 감염성 질환의 치료에 획기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무분별한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많은 부작용을 야기하고 있다. 항생제의 경구 투여에 의한 장내 정상 세균총의 교란, 항생제 내성균의 출현, 가축 치료제 및 생육 촉진제로 사용된 항생제의 잔존 문제 등 많은 부작용이 항생제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probiotics에 대한 관심이 앞으로 크게 증가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Noverr, MC; Huffnagel, GB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12(12)
잡지명
TRENDS IN MIC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562~568
분석자
김*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