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미세배열이 결핵균에 관해 실제적으로 우리에게 알려주는 것은 무엇인가(What do microarrays really tell us about M-tuberculosis?)

전문가 제언
□ 미세배열 유전자 발현 연구는 유전자 발현의 변화가 생물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는 가설에 기초되고 있으므로 대식세포의 감염에 있어서 항산성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에서 과조절되는 유전자가 세포내에서 생존을 위하여 중요할 것이라는 사실이 예상된다. 만약 폐에 강한 선호도를 갖는 대식세포내에서 과조절된 유전자가 세균 생존을 위해 중요하다면 이러한 유전자들의 비활성화가 생체내에서의 성장을 감소시킬 것이라는 가설을 세울 수 있다.

□ 항산성 결핵균의 유전형질인 미세배열 실험의 복합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병원균에 초점을 맞춘 50개가 넘는 미세배열 논문이 발표되고 있다. 대부분 보고에서 유전형질의 구조와 감염원인 숙주와의 반응에 대한 분석으로서 유전자 발현에 있어서 환경에 대한 반응이 유전자 변화에 중요성을 반영한다는 사실이, 혼합 감염시 항산성 결핵균의 돌연변이의 생존이 관찰됨으로써 앞으로 관심을 갖는 과제는 유전형질의 구조와 감염원인 숙주뿐만 아니라 환경에 대한 반응까지 포함된 연구 과제라 생각된다.

□ 항산성 결핵균은 병인학(病因學)적으로 매우 복잡하며 인간과 동물 모델인 마우스(Balb/c 또는 SCID)는 병리학적 측면에서 선천적인 차이를 갖고 있으므로 보다 실용적인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생체내의 상황을 모방하여 대식세포내의 환경을 pH 5.0 이하의 낮은 영양분, 저산소(0.06~1.0%) 등을 고려하여야 하며 미래의 올바른 실험을 위한 모델은 미세배열이 모델로 사용되리라 믿는다.
저자
Kendall, SL; Rison, SCG; Movahedzadeh, F; Frita, R; Stoker, NG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12(12)
잡지명
TRENDS IN MIC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537~544
분석자
최*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