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 손상에 의한 비결정질화 방지(Understanding resistance to amorphization by radiation damage)
- 전문가 제언
-
□ 방사선 손상에 의한 비결정질화 방지에 대한 실험적 및 이론적 연구가 지난 수 십년간 수행되고 있지만 아직 미해결 상태이다.
□ 원자간 상호 작용력의 정의를 원자가 상호작용하고 고체에서 재배열 하는 것으로 규정지어 있기 때문에 이 작용력의 유형이 방사선 방지에 의한 손상에 중요한 열쇠를 가지고 있다.
□ 공유결합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능력은 안정성에 피해를 주고 물질을 방사선 손상에 의한 비결정질화 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고 이온성은 보다 높은 방지효과를 가져온다.
□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사용된 핵폐기물을 안정화하기 위한 처리 실태를 간단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먼저 핵폐기물은 다음과 같은 용적 감소방법으로 처리되어 분말이나 액상으로 남는다.
- 화학적 액상 처리
- 고압 압축
- 약 1,000℃에서 소각하여 재를 발생(우리나라는 소각은 안하고 있음)
○ 우리나라의 핵폐기물은 더 이상 이용되지 않은(재처리, reprocessing) 중 · 저준위 폐기물이므로 고정화할 필요성은 없다.
○ 그러나 수 십배로 줄어든 중 · 저준위 소각재를 고정화하기 위해, 유리화하는 연구가 한국수력원자력(주) 산하 원자력환경기술원과 프랑스 공동으로 파이롯 규모로 수행되고 있다. 유리화 공정은 다른 방법에 비해 비용이 가장 많이 든다고 알려져 있다.
○ 핵폐기물을 고정화시키는 물질로는 유리, 세라믹스, 플라스틱, 시멘트 및 아스팔트 등이 사용된다.
- 저자
- Trachenko, K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기초과학
- 연도
- 2004
- 권(호)
- 16(49)
- 잡지명
- JOURNAL OF PHYSICS-CONDENSED MATTER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기초과학
- 페이지
- 1491~1515
- 분석자
- 유*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