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도금가공에서의 폐산회수 재이용 및 폐액감량화 기술개발

전문가 제언
□ 도금폐수에 보편적으로 함유되어 있는 오염물질은 시안과 크롬을 비롯한 아연, 동, 카드뮴 등의 중금속과 암모니아 등으로 현재 이들 물질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물질별로 각각 다른 처리공정이 필요하게 되고 이에 따른 많은 장치비와 약품비가 소요된다. 그러나 대부분 소규모의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어 도금폐수를 경제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부진한 상태이다.

□ 우리나라는 UN에서 물 부족국가로 분류되어 향후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서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다. 따라서 막대한 용수가 소요되는 도금폐수의 재활용을 위하여 역삼투압원리를 적용하여 처리수를 재활용하고, 고효율촉매에 의한 에너지와 오염물질을 동시에 감소시키는 방법이 성공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 본 보고에서 소개된 베트남의 도금기술은 아직 낙후된 상태이나 베트남정부의 강력한 환경보호정책 추진과 해외기업의 기술개발투자로 급속도의 진전을 보이고 있다. 특히 도금배수처리에 이온교환법 혹은 전자장법(電磁場法)을 도입하여 중금속의 제거는 물론 청정도가 높은 배수로 전환하여 재이용하는 것은 관심을 모으게 한다.

□ 우리나라의 도금산업은 대개 경기 서부권에 단지를 조성하여 배치되어 있는데 대부분 도금폐수를 공동처리하거나 위탁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각 작업장별로 폐수의 특성과 함유성분이 다르므로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서는 연구가 필요하다.

□ 도금 및 세정 폐수는 그 침전물을 이용하여 페라이트화 하여 산화철재료로 이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고품질화하지 않으면 경쟁력에서 불리하고, 수급량도 그다지 많지 않으므로 개발에의 참여도가 부진하다. 그러나 자동화기기와 IT산업의 발전은 계속될 것으로 보이므로 정책적인 뒷받침 하에 연구를 수행해나가야 할 것이다.
저자
Nosaka Hide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2)
잡지명
NEDO 성과보고서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53
분석자
신*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