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쉬 모바일 광대역 망(Viva Mesh Vegas)
- 전문가 제언
-
□ 이동 통신 수단은 이제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 도구가 되었고, 와이파이라 불리는 IEEE 802.11에 근거한 무선 랜을 이용하는 장비도 기업 내의 수요뿐만이 아니라 공중망에도 확고한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 소비자의 수요가 단순한 음성 통신의 정도를 넘어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통신에 이르고 관련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이제는 휴대전화기와 무선 랜 카드가 장착된 노트북 컴퓨터에서의 무선 인터넷 접속은 극히 예사스러운 일이 되었다. 더구나 2006년부터 서비스에 들어갈 와이브로에서는 60Km로 이동중인 사용자도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모바일 광대역 통신을 제공하게 되었다.
□ 이동 통신, 무선 랜, 초고속 휴대 인터넷 등이 모든 기술은 허브 앤드 스포크 형상을 근거로 한다. 즉 단말기간의 통신은 반드시 기지국 혹은 AP를 거쳐야 하는 것이다. 스타 네트워크(star network)이라고도 불리는 이 망의 기본적인 제약점은 이 글에서도 언급이 되었지만 라우팅의 문제에 있다. 즉 이웃간의 직접 연결성이 결여되어 망의 지연 발생 빈도가 높은 것이다. 이 결점의 보완책으로 최근 메쉬 망(mesh network)이 관심을 끌고 있는데 이 글은 Las Vegas에서 운용되는 메쉬 실험 망에 대해 간략한 설명과 함께 그 고려 사항을 언급하고 있다.
□ 이동 통신의 종주국인 우리나라에서도 메쉬 망의 개요와 응용에 대한 지식을 가져야 하는데 이 글이 그 이해를 높이는데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 저자
- Stephen Cass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5
- 권(호)
- (1)
- 잡지명
- IEEE spectrum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42~47
- 분석자
- 홍*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