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미래의 비젼(Visions of a hydrogen future)
- 전문가 제언
-
□ 수소경제는 수소의 생산, 수송 및 이용에서 적용되는 기술에서, 여러 형태로 존재하는 제조 경로를 어느 방식으로 채택해야하는가에 대한 기술 경제적 합리성을 추구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한 예로서 초기에는 SMR(steam methane Reformation) 공정이 유용하다는 평가가 있었는데 현재에 와서는 최종 수소에 혼입되는 촉매의 독작용을 하는 CO의 제거(10ppm이하)에 대한 촉매 개발을 하고 있으나 귀금속의 제한적인 자원과 기술적 문제로 값싼 철 계통을 연구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보인다.
□ 그래서 수소공급의 인프라를 갖추고 온 사이트에서 물의 수전해로 순수한 수소를 생산하고자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여기에 채택하는 전기를 원자력이냐 아니면 태양에너지 등의 대체 에너지를 적용하느냐로 연구 중인데, 역시 안전성과 일차에너지의 가격문제로 경제성과 효율이 가장 큰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 그래서 이러한 연구개발의 지원은 공익자원을 동원하는 정부차원에서 추진되어야하며, 이를 관리하고 집행하는 정책 입안자들은 연구개발의 진행과정이 안고 있는 수많은 리스크와 선정의 문제, 사회의 경제 및 문화적인 충격 등의 문제에서 어떻게 결정하고 지원하여야 되는가에 대한 기본적인 조언을 담고 있다.
□ 연구개발은 최종 성과물이 나올 때까지는 결말(종결)이 없으며 연구의 성과가 단기적으로 형상화되지도 않는 것이기에 과연 어떠한 경로가 많이 존재하는 가능성 측면에서 최선인가 하는 것은 연구자 자신도 잘 알 수 없는 일일 것이다. 그래서 열강들의 경쟁 속에서 우리들이 강구해야 할 바는 보다 진중하며 연구의 둔중함을 고려한 단견적인 제단은 삼가야할 것이다.
- 저자
- Clinton J. Andrews, Scott A, Weiner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4
- 권(호)
- 4
- 잡지명
- IEEE power & energy magz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6~34
- 분석자
- 손*목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