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작기계 산업의 환경대응 기술
- 전문가 제언
-
□ 공작기계 분야에서도 최근 환경문제에 대한 요구가 날로 강력해 지고 있다. 특히 생산현장에서 환경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절삭유제이다. 따라서 이이 배출을 줄이기 위해 절삭유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아니면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건식, 준건식 가공기술의 확립이 매우 절실 하다.
□ 기계 가공시 유제(油劑)의 사용을 최소한으로 하는 방법중의 하나는 공작기계의 주축에 유제와 공기를 동시에 사용하여 윤활하는 것이다. 이 경우 유제를 적게 하면 고속회전 시 교반저항 발열을 낮게 하기 위해 실시하는 경우이다
□ 절삭가공에서 준건식(오일미스트)은 처음 환경대책의 일환으로 시작하였기에 사용하는 기름 종류는 생분해성이 높은 식물성기름이 많이 사용된다. 환경에 관심이 높은 유럽 특히 독일에서는 1993년부터 가공액최소화에 대한 연구를 착수하였으며 일본에서는 1996년부터 극미량 절삭액으로 절삭성능향상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착수되었다.
□ 극미량 절삭액 가공법(MQL; Minimal Quantity Lubrication)은 시간당 10ml의 미량의 유제를 가공점에 공급하는 방법을 말하며 제품과 절삭칩에 유제가 거의 없기 때문에 준건식 가공이라고도 한다. 물론 극미량유제를 사용하게 되면 반드시 집진기를 설치하여야 하며 작업장 환경을 보호하면서 아울러 작업자에 대한 안전위생에 대한 조치도 함께 하여야 한다.
□ 건식가공에 대한 연구에서 냉풍가공에 대한 연구도 꾸준하게 실험을 하고 있다. 즉 영하 40도의 공기를 가공점에 공급하여 냉각 및 공구수명을 연장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때는 완벽하게 환경문제는 해결 되지만 냉풍을 만들기 위한 설비문제 등 해결해야할 문제점이 많다.
□ 준건식 가공에서 오일미스트 문제와 이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한 집진기에 관한 문제를 해결할 때 고능률 고성능의 목표를 달성할 뿐만 아니라 절삭유에 대한 경제적 문제가 상당히 해결되고 폐유 처리에 대한 환경문제의 걱정도 줄기 때문에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
- 저자
- INASAKI ICHIR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
- 잡지명
- 환경대응선단기술에 관한 조사연구보고서-(사)일본공작기계공업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56
- 분석자
- 마*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