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TD-SCDMA 최근 동향(Recent Advances on TD-SCDMA in China)
- 전문가 제언
-
□ 현재 각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2세대 이동통신의 표준은 크게 두 가지이다. 유럽 방식인 GSM이 있고 미국에서 제안된 방식인 CDMA(IS-95)가 있다. 실제로 CDMA 사업이 성공하여 전국을 커버하고 있는 나라는 우리나라 정도 밖에 없다. 미국에서는 두 가지 방식이 혼용되어 쓰이고 있어서 해외 체류 시 몇몇 대도시에서 국내 CDMA 핸드폰을 사용하여 로밍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 3세대 이동통신 사업의 성공여부에 대해서는 전문가들도 장담할 수가 없다. 3세대 이동통신에서 선전하고 있는 비디오 스트리밍 같은 대표적인 서비스가 과연 킬러 어플리케이션(killer application)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기술상의 완성도 측면은 언급하지 않더라도 현재 예상되는 가격정책(종량제)으로는 사용자들의 사용 욕구를 충분히 이끌어내지 못할 것이라는 예측이 많다.
□ 최근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DMB는 상당부분 3세대 이동통신 사업의 영역과 겹치는 점이 많다. 이 또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저렴한 가격의 정액제이지만 컨텐츠가 많지 않고 단방향인 DMB와 상대적으로 비싼 종량제이지만 양방향이고 컨텐츠가 많은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는 본격적인 서비스가 시작되면 경쟁적인 양상이 보일 것으로 생각된다.
□ 우리나라의 기술로는 올해 이미 사업자 선정을 끝내고 내년에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휴대 인터넷 Wibro가 있다. 전문가들은 Wibro 기술이 3.5세대에 해당한다고 말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패킷(packet) 기반 시스템이므로 음성 기반인 기존의 3세대 이동통신과는 차별화 된다. Wibro는 비록 음성과 같은 실시간 서비스에 적합지 못하게 설계되었지만, 기존의 이동 통신들의 실시간 서비스 위주라는 태생적 한계로 인하여 낮은 전송속도에 만족해야 되었던 것과 달리 수십 MHz 에 달하는 고속 전송율을 보여줄 것이다. Wibro 사업이 성공하게 된다면 우리나라는 4세대 이동통신의 표준에서도 매우 유리한 입지를 가지게 될 전망이다.
- 저자
- Bo Li, Dongliang Xie, Shiduan Cheng, Junliang Chen, and Ping Zhang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5
- 권(호)
- 43(1)
- 잡지명
-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30~37
- 분석자
- 황*룡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