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가변구조 제어: 문헌 연구(soft variable-structure controls: a survey)
- 전문가 제언
-
□ 본 논문은 약 가변구조 제어의 필요성이 대두된 시점을 중심으로 해서 전후반의 역사, 가변구조 제어의 기본 개념, 리아푸노브 안정도 판별법을 이용한 해석, 반 선형적, 동적 약 가변구조 제어의 개념 등을 어느 정도 기초 지식부터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최신(2004년) 논문이다.
□ 실제 제어 문제에서는 통상 간단하고 저렴한 PID 제어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PID 제어만으로는 이론적인 안정도 보장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시스템 교체에 따른 제어기 교체 및 튜닝에 따른 비용 등이 증가한다는 등의 여러 가지 단점들이 있었다. 특히 날로 시스템이 복잡화, 정밀화, 불안정화 되는 추세에 있어 고속으로 정확히 동작하는 견고한 제어 성능의 구현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가변구조 제어 법은 여러 개의 제어기를 미리 설계해 두고 실제 시스템의 상태 변화에 따라 적절한 제어기를 선별적으로 적용하는 스위칭 개념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고속의 정확한 응답 특성을 얻을 수 있으며, 최근, 10~20년 전부터, 활발한 이론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약 가변구조 제어는 이러한 가변 구조 제어 이론을 더욱 발전시켜서 연속적으로 제어기 구조 및 파라미터를 변동시킴으로서 시스템 변동에 따른 제어기의 적응성을 극대화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 일반적으로 리아푸노브 안정도 판별법을 이용한 이론적인 해석법이 안고 있는 문제겠지만, 약 가변구조 제어에서도 제어 변수, 혹은 제어 함수의 선정은 여전히 설계자의 통찰력에 의한 일로 남아 있으며,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제어 기법 선정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 약 가변 구조 제어 자체가 새로이 발전하고 있는 분야이고 비선형 확장, 견고성 획득, 파라미터 계산법 개량 및 시간 단축 등에서 다양한 이론적 기여를 기다리고 있으므로, 의욕적인 연구자들의 좋은 도전 과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저자
- J.Adamy, A.Flemming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4
- 권(호)
- 40
- 잡지명
- Automatic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821~1844
- 분석자
- 황*룡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