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석탄이용, 친환경 기술의 최신 동향과 전망

전문가 제언
□ 석탄은 전 세계에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고 가격과 구입 면에서 용이하다는 점에서 1960년대까지는 우리나라 전체에너지 사용량의 46.2%를 점유하였다. 그러나 1970년대에 들어 채탄장의 심부화와 채탄비의 증가로 인하여 단가가 올라갔고 석유, 가스, 원자력 등의 값싼 대체에너지의 추격을 받아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 아직도 개발도상국은 발전과 가정연료로 저렴한 석탄에 의존하는 국가 많고 산업구조상 대체연료로 급속히 전환될 기미는 보이지 않아 석탄의 연료로서의 위력은 지속되리라고 보고 있다.

□ 그러나 근래의 지구환경문제가 이슈화 되면서 석탄연소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SOX, NOX 유해가스로 인한 대기오염이 결점으로 작용하여 석탄의 이용이 급감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선진각국에서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석탄의 청정연료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 미국과 유럽, 그리고 일본을 비교한 바에 따르면 연소 기초기술 및 가압유동 상 복합발전기술, 철강 등의 산업용 석탄이용기술에서 일본이 구미보다 우위에 있으나, 가스복합발전분야기술에서는 구미가 앞서 있다. 환경개선기술은 탈황탈질분야에서 일본이 우세하고 CO2분리 · 회수 · 고정화기술에서는 구미가 강하다.

□ 우리나라는 1970년대에 "석탄산업합리화사업"이라는 정책사업으로 석탄산업의 구조조정에 나서 현재 대체 산업화를 이루어 나가고 있다. 그러나 본 보고에서 시사하는 바와 같이 석탄의 에너지원으로의 존재는 지소되어야 하며 보다 청정화하고 고효율화한 연료로 개질하는 기술개발에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저자
Ohira Tasuy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4
권(호)
(3)
잡지명
Science & Technology Trend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19
분석자
신*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