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우주환경관측,변동감시의 연구동향

전문가 제언
□ 경제발전과 소득증가에 따른 상업용 위성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세계 각국은 통신, 방송, 지구관측(기상 및 해양관측), 환경감시 등에 위성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1957년부터 최근까지 각국에서 발사한 인공위성은 5,000여개이고 그 중 절반가량이 회수되어 우주공간에는 2,500여개의 인공위성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

□ 인공위성이 임무를 완수된 후 회수되지 않고 있는 우주기나, 중도에 고장으로 잔류된 우주파편은 우주쓰레기로 남아 저 괘도에서 선회하고 있고, 이들이 우주정거장이나 작동중인 위성과 충돌하면 손상과 고장의 원인이 되고, 선외 활동 중인 우주비행사에 장해를 발생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증가되고 있는 우주파편에 대한 위성보유국간의 공동협약과 대처방안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우리나라는 1992년의 실험용 소형 과학위성을 필두로, 1995년 8월 우리나라 최초의 상용방송통신위성을 발사하여 위성통신 시대를 열었다. 그리하여 방송과 통신에 음질과 화질 면에서 크게 개선하는 계기가 되었다. IT강국으로 부상한 우리나라의 방송위성위성 시대 진입은 더욱 발전할 수 있는 발판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환경감시위성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발사한 대기오염 감시위성인 아우라(Aura)와 유럽 환경감시위성 인바이샛(Envisat)이 있다. 미국의 Aura는 성층권과 대기권을 지나며 구성성분을 검사해 지구로 전송할 예정이고, Envisat는 지상 800km괘도에서 환경오염 실태와 관련한 광범위한 데이터를 제공해 지구생태계와 그 변화를 보다 정확히 감시하고 그 원인을 이해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 위성발사에 드는 예산은 막대한 액수이나 전술한 천기 관측과 농수산자원 관측, 자동차항법에 사용되는 위성이용 위치정보시스템(GPS) 등 다용도에 이용함으로써 국가의 경제적 수익성이 높을 것으로 평가되어 이 분야의 개발에 더욱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저자
Tsujino Teruhis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기초과학
연도
2004
권(호)
(3)
잡지명
Science & Technology Trends
과학기술
표준분류
기초과학
페이지
1~19
분석자
신*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