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제약산업의 현황과 전망(Health Care in Focus)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가 선진국의 지표라고 할 수 있는 OECD에 가입한지도 만 8년이 지났고, 이제 국민소득이 10,000달러를 넘어 20,000달러 대를 향해 가고 있는 지금, 국민들은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져 가고 있는데, 정부의 한 보건관련기관의 조사에 의하면 삶의 질을 결정하는 여러 가지 요소들, 예를 들면 재산, 여가, 환경, 자연, 화목한 가정 등 여러 가지 중에서 건강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이렇게 중요한 건강을 지키는 데는 의약품이 가장 크게 기여해 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즉,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출현한 많은 의약품들이 그동안 불치로만 여겨졌던 다양한 질병들을 퇴치해서 인간의 수면을 연장시키는 등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크게 기여해 오고 있다. 이렇게 없어서는 안 될 의약품을 개발하고 생산하는 제약회사들은 막대한 R&D 투자에 의해서 발명한 신약들을 특허권의 보호 하에 높은 마진을 붙여서 상당기간 동안 전 세계에 독점적으로 판매하면서 엄청난 이익을 올려왔다.
□ 그러나 20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IT, BT와 함께 NT가 등장하면서 과학・기술 전 분야에서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데, 제약분야도 예외는 아니어서 이제는 거대 다국적 제약회사들도 바이오나 나노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소규모의 기술회사들과의 협력 없이는 신약개발이 어려워지고 있는 환경으로 변화해 가고 있다.
□ 이와 같이 제약산업이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는 가운데, 의약품 시장조사업체인 IMS Health가 현재 전 세계의 제약산업계가 안고 있는 문제와 현황,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을 심층있게 분석하여 Chemical & Engineering 지(2004. 12. 6)에 표지기사로 기고한 것은 대단히 의미있고 시의적절하다고 평가된다.
□ 이 요약문은 필자가 원문 전체를 약 25쪽 분량으로 우선 상세하게 번역한 다음 다시 9쪽으로 요약한 것이다. 전체 번역본을 원하는 독자는 필자에게 연락하기 바란다. (dalmaioikr@reseat.re.kr)
- 저자
- Selena Class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82(49)
- 잡지명
- Chemical & engineering n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8~29
- 분석자
- 이*웅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