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통신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 전문가 제언
-
□ 유비쿼터스 사회를 구축하는 첫걸음은 computing, content, connectivity로 구성되는 ‘3C everywhere’이다. 3C everywhere는 근거리무선통신과 센서 기술에 의하여 실제 공간과 네트워크속 가상공간이 융합을 통하여 나타날 것이다. 이때, 무선통신용 센서들의 저전력 기술이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실현하는 주요한 관건이다.
□ 컴퓨터는 메인 프레임시대를 거쳐 PC시대로 발전하였으며, 이제는 포스트 PC시대의 패러다임으로 유비쿼터스 컴퓨팅이 급부상하고 있다. 프레임시대가 인간과 컴퓨터 간의 불평등한 관계 또는 컴퓨터에 대한 인간의 일방적 종속이라면, PC는 인간과 컴퓨터간의 관계를 대등한 관계로 역전시켰다.
□ PC문화가 컴퓨터를 권력자의 권리도구로 이용하는 것에 대해 대항적이고 반체제적이었다면,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컴퓨터에 박탈된 인간다움과 자연스러움을 회복하려는 인간성 회복의 문화라 할 수 있다.
□ “주위의 모든 일상 사물에 컴퓨터가 내장되고 그들이 서로 조용히 정보를 교환하게 된다.” 이는 Mark Weiser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개념을 단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그는 컴퓨터의 이상적인 미래상으로 숲 속을 거닐 듯이 편안하게, 안경을 끼고 책을 보듯이 의식하지 않는 상황 속에서, 의복과 같이 신체와 일체가 되는 이용자 중심의 환경을 주창한 사상가이기도 하다.
□ 도시공간 속에서 도시인과 도시적 생활양식이 등장하듯이 유비쿼터스 생활공간 속에서는 유비티즌(Ubitizen: Ubiquitous Citizen)이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새로운 생활양식이 보편화될 것이다.
□ 유비쿼터스적 생활양식의 변화는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할 것이며, 유비티즌은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제조공간시대의 바람직한 시민상으로 부각될 것이다. 무선통신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가 이 유비쿼터스 환경을 실현할 것이다.
- 저자
- Hiroyuki MOR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4
- 권(호)
- 87(5)
- 잡지명
- 電子情報通信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356~361
- 분석자
- 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