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속증식로를 이용한 수소 제조기술-하이브리드열화학 공정

전문가 제언
□ 환경 친화형이며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도 중요한 수소에너지사회 구축을 위하여 각국은 치열한 개발경쟁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수소는 이차에너지로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와 에너지원이 무엇이냐에 따라 원래의 목적을 상실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어 신중한 개발이 요구된다.

□ 현재 상용화되어 실용되고 있는 제조법은 메탄과 수증기의 혼합물에 열을 가하여 수소와 산소를 생산하는 수증기개질법과 이집트, 캐나다 등 수력발전으로 발전단가가 저렴한 국가가 채택하고 있는 전기분해법이다. 수증기개질법 등 화석연료를 원료와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공정으로 CO2를 필연적으로 배출하며, 온실효과가스 저감과 해외 에너지원탈피라는 수소에너지사회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게 된다.

□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물을 원료로 사용하고, 에너지원으로는 태양광, 풍력 등 재생가능에너지 또는 원자력을 사용하는 방법이어야 한다. 이 때문에 미국, 일본, 프랑스 등이 고온가스냉각로를 이용한 수소생산 기술개발에 적극적이다. 우리나라도 2020년까지 연간 3만톤 규모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원자력 모듈을 개발하고 있다.

□ 그러나 자원 수명이 60년 정도로 알려져 있는 우라늄 또한 제한된 자원이라 본격적인 수소경제사회를 장기간에 걸쳐 지속시키는 것은 한계가 있어,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현재 확인된 우라늄 매장량으로 1,000년은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원자력시스템인 고속증식로와 수소 제조시설을 결합하려는 시도가 있어 여기에 소개한다.

□ 우리나라가 실시하고 있는 KALIMER 고속증식로 개발계획의 이용범위가 넓어지게 된다.
저자
K.Ohno, et al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4
권(호)
50(9)
잡지명
원자력eye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34~37
분석자
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