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의 병원균 인식과 벙어를 위한 감지시스템 (Plant perception systems for pathogen recognition and defence)
- 전문가 제언
-
□ 식물의 한 부분으로 조직배양을 해 본 사람이면 이 식물 조직을 죽게 만드는 진균이나 박테리아의 감염으로부터 보호하기가 얼마나 힘든가를 다 경험해 보았으리라 믿는다. 그러나 우리가 사는 자연환경 속에서 식물들은 건강하게 자라며 대개는 미생물과 경쟁에서 성공적으로 이겨 나가고 있다. 이는 식물들이 분명히 강력한 방어 기작을 몸 전체에 가지고 있다는 얘기이다. 어떻게 이러한 메커니즘들이 작용하는가 하는 것을 연구하는 것이 근래의 초점을 이루고 있다.
□ 동물과 식물에 내재하는 면역반응은 잘 연구된 현상이다. 이 면역 현상의 분자적 근원은 동물 식물경계를 넘어서 두루 존재하며 진화하면서 훌륭히 보존된 생리현상이다. 감염반응의 활성화 혹은 항 미생물 분자들을 생성하는 것은 Toll-like 수용체들(TLRs)을 통한 병원균-관련 분자 양상 (pathogen-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PAMPs)을 인식하는데서 시작한다. 내재하는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PAMP 물질들은 박테리아의 lipopolysaccharide, lipoprotein, flagellin 그리고 진균의 세포벽에서 발생되는 탄수화물과 단백질이다.
□ 식물들은 또한 비(非)자신 인식 시스템(수용체)을 가지고 있어 수많은 미생물-유래한 분자들을 인식하여 식물 방어반응을 활성화하여 종에 관계없이 무차별적으로 대응한다. 이 미생물 유래 분자들을 일반적인 elicitor들이라 칭하며 난균들 세포벽의 β-heptaglucan 구조들, 진균 세포벽의 키틴 그리고 박테리아의 N-말단 조각들 flagellin 등이다.
□ 식물에서 많은 세포성분들이 확인되고 있지만 메커니즘, 상호작용 그리고 반응들은 아직도 부분적으로 알려져 있다. 거기다가 이러한 연구들이 현재는 대개가 모델식물에서 연구되고 있어 앞으로는 식물, 특히 곡물들에 대해 이러한 현상들이 자연군락에서 연구되도록 노력하여야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연구가 되겠다.
- 저자
- Gomez-Gomez, L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41(11)
- 잡지명
- MOLECULAR IMMU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055~1062
- 분석자
- 이*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