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생 동물의 다염소화나프탈린과 음식물을 통한 사람의 노출(Polychlorinated naphthalenes in animal aquatic species and human exposure through the diet: a review)
- 전문가 제언
-
□ 염소화나프탈렌은 최근에 환경호르몬 물질로 분류되거나 유사 물질로 분류되고 있는 다이옥신(PCDDs, PCDFs), PCBs, PCDEs, PBDEs, PBBs등과 함께 염소 및 불소치환 2-방향족 탄화수소류의 하나로 비교적 오래 전부터 산업용으로 특수한 분야에 귀하게 사용된 관계로 현재도 지구상의 극지는 물론 해양을 포함한 육상에서 쉽게 미량으로 검출되는 난분해성이자 장거리 이동성 및 생체 내 축적성이 있는 환경오염 물질이라 하겠다.
□ 염소화나프탈렌은 화학적으로 소수성이고 화학적 또는 열적으로 대단히 안정화된 화합물이기 때문에 과거에 산업적으로 사용 중에 유기된 화합물이나, 사용 후 폐기된 화합물을 자연 상태에서 제거하는 것은 극히 어렵고, 장기간이 걸리기 때문에 과거에 절연유로 주로 사용하던 PCBs처럼 특별한 화학적 또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처리하도록 미국이나 일본에서는 처리 기술이 이미 개발되어 점차적으로 처리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도 폐기에 있어서는 이들의 방법을 따라야 할 것으로 본다.
□ 특히 선진국의 경우 이제 PCBs 및 PCNs의 생산은 거의 중단된 상태이나 아직도 생산 및 사용 금지를 시행하고 있지 않은 국가가 있기 때문에 이 난분해성 물질이 여러 음식물을 통해 인체에 전달되기까지의 생물학적 또는 생태학적 과정을 추적하여 이런 중간 물질의 과도한 섭취를 피할 수 있도록 국민 보건에 대한 계도 활동도 따라야 할 것이다.
□ 본 논문은 여러 가지 염소 및 불소치환 2-방향족 탄화수소의 난분해성 및 장거리 이동 특성과 생체 내 축적성으로 인한 인체에 영향을 주는 특수 화학 물질에 대해 이것의 발생에서부터 최종적으로 인체에 전달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조사한 자료를 정리한 것으로 우리나라는 이런 미량의 환경오염 물질에 대한 정확한 분석 방법의 정립과 이 물질의 전국적인 분포 상황 조사 및 생태적인 오염원의 제거 방법에 관심을 두고 이 문제를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 저자
- Domingo, JL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1054(1-2)
- 잡지명
- Journal of Chromatography 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27~334
- 분석자
- 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