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화상에 대한 숙주의 방어펩티드(Host defense peptides in burns)

전문가 제언
□ 피부는 인체와 외부 환경과의 장벽 역할을 하며, 필요에 따라 유입과 방출을 조절하고 항온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며 면역작용이 활발한 조직이다. 면역작용은 생전의 유전적인 배경, 또는 침입자에 대응하면서 갖추어지게 된다.

□ 선천적인 면역은 계통발생학적으로 미생물을 인식할 수 있는 면역체계로 미생물의 구조에 대한 인식을 한정된 수나마 생식세포에서 유전자에 기록하고 있고, 적응면역체계는 특정항원에 따라 재구성으로 선택된 효과적인 클론에서 온다. 그러나 적응면역체계는 감염을 당했을 때 빠르게 대처해서 숙주를 보호할 수 있는 체계는 아닌 것으로 본다.

□ 피부에도 다른 기관에서와 같이 공생하는 미생물이 장벽에 도움을 주기도 하고 숙주방어 펩티드(Host Defense Peptides; HDPs)를 통해 박테리아의 상태에 영향을 준다. 숙주방어 펩티드는 다른 생물에서는 오래전부터 잘 알려져 왔으나, 사람의 경우 cathelicidin과 defensin과 같은 물질이 면역 관련세포는 물론 다른 조직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 부위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두께가 2~3mm 정도로 손상이 있을 때 피부 재생은 주로 표피 아래 진피층 피부에 기저세포, 모근, 땀샘, 지방 분비샘 등에 놓여 있는 피부 재생세포로부터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피부가 화상을 입으면 감염의 위험이 증가한다. 화상환자는 이러한 장벽의 기능이 무너지면서 공생하는 박테리아는 물론 병원균의 침입으로 균형이 파괴된다. 그러한 병원균으로는 Staphylococcus aureus와 Pseudomonas aeruginosa를 들 수 있다.

□ 항생제의 남용으로 저항성이 생긴 병원균이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Pseudomonas aeruginosa는 다양한 항생제에 저항성이 생기고 Staphylococci는 methicilin에, Enterococci는 vancomycin에 저항성이 생겨 화상환자의 경우 여러 가지 박테리아의 감염으로 심각한 상태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람의 선천적인 면역반응과 숙주가 만드는 방어펩티드의 연구가 중요시 된다.
저자
Steinstraesser, L; Oezdogan, Y; Wang, SC; Steinau, HU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30(7)
잡지명
Burns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619~627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