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히단토인 화학의 최근의 발전(Recent developments in hydantoin chemistry)

전문가 제언
□ 히단토인 및 그 유도체는 대표적인 알칼로이드로서 미량으로도 강력한 다양한 생리작용 내지는 약효를 나타내기 때문에 의약품으로서 그 역사가 매우 긴 화합물 군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히단토인 유도체의 큰 단점의 하나는 심각한 독성과 부작용으로서 환자의 치료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데 있다.

□ 수많은 합성 유도체가 임상단계에서 탈락하는 것도 이 때문이며 예로 매우 강력한 알도오스환원효소 저해물질로서 Pfizer 회사가 당뇨병성 합병증치료제로서 개발한 히단토인 유도체인 소르비닐(sorbinil)이 임상 단계에서 탈락된 사실과 기타 합성된 유사 히단토인 유도체들이 작용은 강하여도 독성 내지 부작용 때문에 개발이 진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 히단토인 제제는 주로 향정신성 질환 특히 항 간질제 또는 항 경련제로 쓰이고 있으나 그 유용성에는 문제점을 안고 있어서 예를 들어 종합 형 에스트로겐은 발비탈산, 페닐부타존, 히단토인, 리팜피신, 그리세오풀빈을 복용하는 경우 이 성분들의 작용이 저하 될 수 있으며 와파린 항응고제, 히단토인과 같은 항 경련제를 장기간 복용하는 사람에서는 알코올이 이런 약제의 대사를 촉진함으로 약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약물상호작용이나 내성이나 부작용이 없고 약효를 증진시킬 수 있는 약물의 개발이 요구 된다.

□ 이러한 관점에서 히단토인 유도체의 합성은 계속되어야 하고 그 수많은 합성물에 대한 대량 활성 검색 시스템을 활용한 신속한 황성 및 독성검색이 이루어지며 분자모델링을 활용한 구조-활성의 예측 및 작용기전연구가 아울러 수행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 된다. 포유류의 푸린 대사의 최종 산물로서 봉밀 중에 함유된 5-ureidohydantoin 인 알란토인(allantoin)처럼 그 성분상은 비교적 적지만 독성이 미약한 천연물 유래 히단토인 유도체에 대한 연구도 기대 해 볼만하며 본 내용에서 나타난 각종 지식들은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Meusel, M; Gutschow, M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36(5)
잡지명
ORGANIC PREPARATIONS AND PROCEDURES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91~443
분석자
신*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