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성분계 합금에서의 다상 응고(Multiphase solidification in multicomponent alloys.)
- 전문가 제언
-
□ 다성분계 합금의 응고에서 미세조직의 형성과정에 관한 지식은 재료에 이로운 상과 해로운 상의 양과 형태 및 분포상태를 조절할 수 있어서 고품질 재료의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산업계에서 폭넓게 실용화 되고 있는 metalmetal(O, N, C) ternary system, (Fe, Al, metal)metalmetal ternary system, 그리고 Quaternary and high order system 등의 미세조직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2성분계 합금에서 공정과 포정의 성장과 같은 다상 응고의 문제에 적용하기 위해 개발한 다상 응고에 대한 상장 모델링 등이 유용하다.
□ 실용합금을 급속하게 가열 및 응고하여 만들어진 용접부에 대하여 전산 열동력학 모델(computational thermodynamics model)을 사용하여 다성분계 용접부의 1차 응고조직, 용질원소의 분배에 의한 응고조직, 실온으로 냉각된 용접부 응고조직의 안전도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 개발된 계면-반응 함수 모델(interface-response function model)을 전산 열동력학 모델과 연관시켜 사용하면 다성분계 철강재료 용접부의 응고과정에서 생성되는 응고상의 선택과정을 평가할 수 있다.
□ 연속적으로 응고가 진행되는 주조와 용접과 같은 경우 고속/고해상도 사진기술과 상대론적으로 큰 에너지를 갖는 하전입자가 가속될 때 방출하는 빛인 싱크로트론 방사를 갖는 x-선 회전 장비인 TRXRD (time-resolved x-ray diffraction)를 사용하여 응고거동을 실시간에 걸쳐 효과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 독일의 Aachen 대학과 Institute of Space Simulation DLR KӦln을 포함한 유럽의 7개 연구기관에서 Ni5.8wt.%Al8.98wt.%Cr 7.94wt.%Ta8.84wt.%W초내열합금, Fe1at.%C1at.%Mn 탄소강, Al 13.07at.%Cu16.97at.%Ag알루미늄 합금 등에 대한 미세조직 발달의 시뮬레이션 등에 관하여 정리한 ‘다성분계 합금에서의 다상 응고’에 관한 기술 자료는 고품질의 다성분계 합금 개발하는데 매우 유익한 자료이다.
- 저자
- Hecht, U; Granasy, L; Pusztai, T; Bottger, B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46(1-2)
- 잡지명
-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R-REPORT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49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