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제강 슬래그에 의한 MgO-C 내화물의 용식(corrosion of MgO-C Refractories by Steelmaking Slags)

전문가 제언
□ 금속, 시멘트, 유리, 석유제품, 다량의 전기 에너지의 생산은 내화물에 의존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화물은 일반 대중의 주의를 끌지 못하므로 내화물이 무엇이며 또한 그것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사람은 드물다. 내화물은 제조지점에서 타 공장으로 보통 직접적으로 보내져 내화물이 소비자 품목을 생산하는데 비록 사용되어도 그 소비자품목은 내화물의 흔적을 지나지 않는다.

□ 산업용으로 제조되는 내화물의 유형은 방대하나 모든 고온 내화물은 다만 몇 가지 화학원소 즉 Si, Al, Mg, Ca, Cr, 및 Zr 을 포함하는 화합물로부터 제조된다. 이러한 원소의 산화물은 단 하나로 혹은 여러 가지 조합으로 쓰인다.

□ 주요 내화물 생산은 철강업과 연관되어 즉 철강생산이 증가하면 내화물도 또한 증가하고 역 또한 같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최근 제강 톤당 내화물 소모량의 극적 감소가 철강계에서 이루어졌다. 이는 특별히 공정 제어와 열간 건닝 보수(hot gunning repair)의 개선된 조업에 기인한다. 탄소를 함유한 복합재료로 향상하고 또한 내화물 소모량 감소를 달성함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 2003년도 일본통계에 의하면 제철 · 제강 내화물의 구성비는 73.2%이고 둘째인 시멘트 제조용은 3.8%에 지나지 않는다. 같은 년도 기준으로 세계철강생산 5위국인(조강생산 48.3백 만 톤) 우리나라는 정형내화물의 경우 마그카본 벽돌이 30%를 구성하고 둘째의 구성비는 20%로 고 알루미나 벽돌이 차지하여 MgO-C 내화물의 위상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분석에서는 두 주제강 설비인 전로와 전기로의 주 내장재인 MgO-C를 대상으로 하였다.
저자
Ewais, EMM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112(1310)
잡지명
JOURNAL OF THE CERAMIC SOCIETY OF JAPAN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517~532
분석자
김*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