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회화 타이밍:장애와 신경 이미지 발견(Timing speech: a review of lesion and neuroimaging findings)

전문가 제언
□ 언어장애 연구를 통하여 두뇌의 각 부위별 기능과 신경계통 연관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사람이 말하는 행동에서 음절이나 단어의 시간적인 타이밍 관련 연구는 향후 질병의 진행정도에 따른 치료방법 발전에도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겠다.

□ 두뇌의 오른쪽 반구와 왼쪽 반구의 역할분담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여 환자의 증상으로 두뇌 손상부위를 예측할 수 있는 기초를 만들었다. 아직은 완전하게 의학적으로 파악되지 않았지만, 오른쪽과 왼쪽 반구사이의 두뇌기능과 신경조직의 관련성 연구에 많은 자료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사고에 의한 두뇌손상 뿐만 아니라, 파킨슨 병 같은 신경계통 질병 때문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결과 중에서 특히 언어장애 기능에 대한 연구가 진행 되었다. 질병 상태에 있는 환자와 정상인과 차이는 말하는 속도와 감정표현에 따른 변화는 질병에 대한 심각한 정도를 관찰할 수 있었다.

□ 언어학적인 타이밍에 관한 연구는 컴퓨터가 음성을 인식하고 판별하는 인식력 기술향상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분야로 생각되었다. 특히 컴퓨터의 인공지능 개발에 반드시 필요한 인간 두뇌의 활동 메커니즘 연구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게 되었다.

□ 언어장애에 관한 연구는 단순하게 의학적인 분야를 떠나서 컴퓨터 분야에서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 음성인식과 컴퓨터 기계음합성에도 많은 참고사항을 보여주고 있다. 부정확한 발음에 대한 원인규명과 해결책 연구의 이론적인 뒷받침은 향후 컴퓨터를 중심으로 하는 정보산업 기술개발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 현재 가장 보편화된 컴퓨터의 입력과 출력장치를 인간생활에 좀 더 가까워질 수 있는 음성인식에 의한 입력장치와 음성합성 출력장치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로 생각되었다.
저자
Schirmer, A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4
권(호)
21(2)
잡지명
COGNITIVE BRAIN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269~287
분석자
구*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