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분쟁조정위원회의 역할 - 수긍할 수 있는 권고서 요점(Dispute review boards: Elements of a convincing recommendation)

전문가 제언
□ 얼마 전 주간지에 미국상법을 알아야 세계 제일의 기술제품이라도 시장에서 성공한다는 기사를 읽었다. 사실, 기술은 돈 주고 사면된다. 시장과 판매는 계약의 성패가 좌우한다고 보아야 한다.

○ 과학 기술자의 역할 확대가 곧(이미 시작됐다고 봄) 이공계의 사회인문 분야(소비자 보호, 특허, 기술 협정, 분쟁 관련)까지 판단 의뢰 및 제안 단체가 이공계로 바뀌는 차제에 본고의 시의적절성이 있다고 본다.

□ 이 글을 분석하면서 숱한 국제 계약과 수행 과정에서 공청회, 법정 공방 등을 통해 보고 들은 바를 첨가하였음을 부언한다. 경험담을 예로 들면 Alaska 전력청 발주 공사인 초고압 송전공사 수주(Award Notice)를 받자마자 실격된 회사의 노조의 극악한 위협과 협박도 이 글에서 소개한 DRB 과정과 공청회에서 타당성을 인정받아 성공리에 완료한 바 있다.
저자
Harmon, KMJ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4
권(호)
130(4)
잡지명
JOURNAL OF PROFESSIONAL ISSUES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PRACTICE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289~295
분석자
김*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