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적 모세관 전기이동에서의 이온경계(Ionic boundaries in biological capillary electrophoresis)
- 전문가 제언
-
□ 모세관 전기이동에서 모체나 배경전해질 물질에 의해 생기는 많은 이온경계들은 실제로 의식되지 못하고 지나칠 수 있으나 이로 인한 예기치 못한 영향을 크다고 볼 수가 있다. 어느 문헌에서도 명확한 설명을 찾을 수없는 이 현상과 그 영향 및 효과에 대해 올바른 실험적 및 이론적인 이해가 생물학적 분석에 필수라고 하겠다.
□ 생물학적 미세분석에서 그 분리 및 분석 기술의 적절한 운전조건을 찾아 선택하는 것은 역효과를 줄이고 바람직한 효과를 최대화하여 더 좋은 분리효과와 분석 감도를 이루게 할 것이므로 각기의 특성에 맞는 이들의 최적화 조건을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하겠다.
□ 단백질분석은 일반화 되었지만 적절한 감지시스템의 부족으로 이의 적용과 응용에 장애가 되고 있다. 전기이동분리시스템의 행동을 잘 들여다 볼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이다. 현장중심 사용자중신의 최적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의 소프트프로그람개발이 요구된다.
□ 단백질이나 DNA분석 시 여러 가지 사전농축기술이 감도 및 결정력 증가를 위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이지 않는 영역의 이동이 관련된 효과의 실험에 별 관심을 보이고 있지 않다. 이는 감지신호의 다양성이나 극점의 압축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는 현상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대한 분석과 해결책이 필요하다 하겠다.
- 저자
- Foret, F; Kleparnik, K; Gebauer, P; Bocek, P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1053(1-2)
- 잡지명
- Journal of Chromatography 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3~57
- 분석자
- 김*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