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출성형기용 유압펌프 모터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사출성형기 동력원으로서 과거에는 유압이 독점되어 왔으나, 시대의 요구 변화에 따라 유압시스템의 구성이 고정용량 유압펌프 제어방식에서 가변용량 유압펌프 제어방식, 그리고 최근에는 가변용량 유압펌프 직접 제어방식으로 변환되고 있다.
□ 이와 함께 기후변화 협약과 지구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에너지 절약과 환경을 고려한 전동식 성형기가 보급 확산 추세에 있고, 유압성형기의 생산판매도 급격히 감소상태에 있다.
□ 최근에는 유압식과 전동식 각각의 장점을 살린 하이브리드방식 등이 개발 사용되고 있으며, 사출속도의 고속화를 목적으로 유압 서보밸브와 어큐뮬레이터를 조합시킴에 의해 매초 1,000mm 내외의 사출속도로 플라스틱 제품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유압펌프와 서보모터를 조합함에 의하여 에너지 절약과 응답성·온도 적합성, 재현성 등의 개선 여지가 크다.
□ 한편, AC 서보모터의 값이 고가이므로 유압식에 비하여 전동식의 시설 투자비가 많은 상태에 있으나, 유압펌프 사용 시의 코스트 측면을 고려하는 경우, 전동식 사출성형기도 충분히 경제성이 있다.
□ 서보 모터에 있어서 최근 전자기기의 발전 속도가 대단히 빠른 관계로 최신의 전자기기와 공용할 수 있는 유압기기 제작에 많은 노력이 경주되어져야 할 것이다.
□ 기후변화 협약과 지구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향후에도 에너지 절약과 환경을 고려한 전동식 사출성형기의 개발 생산 보급이 지속적으로 확산 전개될 수 있도록 정부 및 관계 기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며, 작동유 제조업체 등도 친환경적 차세대 동력전달매체 개발생산을 조속히 모색, 강구해 나가도록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Hiraide H.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3(12)
- 잡지명
- 유공압기술(E05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23~27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