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계에서의 연구개발 프로젝트 평가방법(A Methodology of Evaluating Industrial R & D Projects)
- 전문가 제언
-
□ 국가 연구기관이나 산하 출연 연구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연구 프로젝트의 평가방법으로 주로 평점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내용은 획일적으로 정하여 있지 않으며, 기관의 목적에 따라 평가내용이 차이가 있다.
○ 프로젝트의 합리성: 추진방향의 적절성, 추진목표 대비 내용의 적합성
○ 사업 추진의 효율성: 수행체계의 및 절차의 합리성, 관리의 적절성, 개선정도
○ 성과에 대한 기대: 투입자원 대비 사업 추진실적, 목표 달성도, 기술의 완성도, 과학기술의 성과, 산업 경쟁력 제고성과, 전문화와 특성화 성과 등의 평가항목을 설정하고,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두며, 평가등급은 5단계로 두고 평가하고 있는 사례도 있다.
□ 평가를 담당하는 위원의 구성에 따라 평가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정량적인 면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지만 5단계로 구분된 평가등급에서 어떻게 채점하는가는 평가위원의 재량에 맡겨지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평가위원의 선정에 관한 점과 사전에 충분한 검토를 거침으로서 도덕적 해이로 인한 연구개발 의욕이 상실되지 않고 평가를 통한 자기발전의 기회를 갖도록 하고 연구 개발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미국기업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DRA(Decision and Risk Analysis)의 경우를 보면 (1) 창의적 대안에 대한 분석, (2) 불확실성에 대한 객관적 분석 및 위험요인에 대한 분석, (3) 여러 관련자의 참여에 의한 집단의사결정, (4) 여러 대안을 평가하여 최적안의 결정, (5) 분석의 주요 단계마다 의사결정자의 의견 반영 등으로 구분된다. 의사결정 순서는 고객 가치 창출을 위한 정책, DRA 분석대상이 되는 R&D, 생산시설 규모, 마케팅에 대한 전략, 기술 도입처, 구매처 선정, 평가방법 등에 대한 전술적인 것으로 전개된다.
□ DM법이나 신 평점법, CTOP 방법 등에 대하여는 적용하는 회사의 형편에 맞게 선택되어야 할 것이라 본다. 다만 유사업종에서는 적용사례를 참고하고 전문가면담(Expert Interview)과 위험과 수익의 관계를 나타내는 S커브를 활용하여 회사사정에 따라 평가항목과 채점방법에 대한 것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저자
- Yoshitaka OSAWA ; Nobuo YUMOT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3(10)
- 잡지명
- 계측과 제어(E10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748~754
- 분석자
- 마*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