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백금 및 백금합금 도금과 백금족 금속의 전기주조 기술(Platinum, Platinum Alloy Plating and Platinum Group Metals Electroforming Technology)

전문가 제언
□ 백금족 도금에서 가장 보편화된 것은 로듐(Rh) 도금이며, 이것은 내마모성이 중요시되는 접촉 소자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도금 후에 열 확산을 시켜서 리드스위치용의 접점 등에도 사용된다. 로듐 도금액은 황산이나 인산을 포함한 강산성 액이기 때문에 음극에서 수소가스 발생이 많으며, 이로 인해 도금층에 핀 홀(pin hole)이 발생하기 쉽다. 팔라듐(Pb) 도금, 백금 도금, 루테늄 도금 등도 공업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 테트라클로로백금(Ⅱ)산과 핵사클로로백금(Ⅳ)산을 총칭하여 클로로백금산(chloro-platinic acid)이라 한다. 염화백금산 또는 백금염화수소산이라고도 하며, 백금과 염소의 화합물로 산화수 Ⅱ 또는 Ⅳ의 화합물과 Ⅱ와 Ⅳ가 공존하는 화합물이 있다.

□ 염화백금(Ⅱ:염화 제일백금), PtCl은 백금 해면을 염소 중에서 435~581℃로 가열하면 얻어지는 회녹색 고체이다. 염화백금(Ⅳ: 염화 제이백금), PtCl은 핵사클로로백금(Ⅳ)산2육수화물을 염소 중에서 300℃로 가열하면 얻어지는 갈색의 편평한 결정으로 공기 중 수분을 서서히 흡수하여 수화물이 되어 점차 변질한다.

□ 화학적으로 이온화 에너지가 수소의 이온화 에너지보다 훨씬 크고 산 및 산화제에 의해 산화되지 않는 금, 백금, 루테늄, 로듐, 오스뮴, 이리듐 등의 금속을 귀금속이라 한다. 은은 용존 산소가 없으면 비산화성 산에 녹지 않기 때문에 귀금속으로 취급하는 경우가 많다. 귀금속은 전극, 전기접점, 장식, 도금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며 합금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 이 글에서는 무전해 백금 도금액, 중성 백금 도금액, 백금 합금 도금액, 백금 금속 전기주조 기술과 용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귀금속은 재생이 공급 안정에 중요하다. 특히 Ir과 Ru는 회수가 어렵고 정제 비용이 많이 든다. 가격 안정이 기술 활용에 중요하기 때문에 귀금속 사용기술은 재생 기술을 병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즉 백금족 금속의 이용은 재생 기술이 확립되어야 안정적 공급이 확립될 수 있다.
저자
Somei YARIT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55(10)
잡지명
표면기술 (C135)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646~650
분석자
오*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