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팔라듐과 팔라듐합금 도금(Palladium and Palladium Alloy Bath)

전문가 제언
□ 팔라듐은 백금족 원소로서 팔라듐의 특성은 도금액 중에서도 촉매로 대단히 활성이 강하며, 도금액은 금도금액에 비해서 불순물이나 또는 욕 성분변화에 대단히 민감하며, 수소흡장, 유기물흡착성에 대한 기술적 과제가 팔라듐 도금액 개발에 장애가 되고 있다.

□ 그러나 팔라듐은 가격이 싸고, 물리적 특성이 경질 금보다 우수하여 전기접점부품에 많이 사용되며 고품질에서는 팔라듐의 수요가 많아지고 있다. 또한 니켈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사람에게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일본의 Umicore Precious Metals[ユミコアプレシャスメタルズ(株)]에서는 이온교환수지를 개발하여 팔라듐은 흡착하지 않고 니켈, 동 등을 선택적으로 흡착제거 하여 도금액을 관리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등의 다각도로 연구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팔라듐을 PCB, CPU, IC, RAM Modulus, Waffer 등 폐 전자 부품과 이온교환 수지, 도금단자, 폐 필름, Lead Frame Scrap, 오니류 등과 같은 산업 폐기물에서 회수 생산하고 있으며, 사용분야는 치과용과 장신구에 국한되어 있는 것 같다. 도금은 금보다 경질이며 원가가 싸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전자분야와 장신구 분야에 수요가 크게 늘 것 같으나 기술적으로는 아직 초보 단계로 본다.

□ 2006년 7월부터 시행하는 EU의 특정유해물질 사용제한지침(RoHS) 시행을 앞두고 일본의 Sony, Cannon, Toshiba, Matsushita 등의 전자 업체들은 녹색구매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삼성 택트윈은 생산 공정에서 납땜을 대체하여 팔라듐을 이용한 무연도금 기술을 개발하여 특허를 제출하고 있으며, 삼성전기, LG이노텍 등도 이 분야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팔라듐의 응용범위는 점점 확대되고, 이 분야의 연구도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저자
Katsushi YASUMUR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55(10)
잡지명
표면기술 (C135)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640~645
분석자
이*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