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탈색 탈염제의 기술동향(The development trend of the latest decoloring agent, destaining agent)

전문가 제언
□ 제약계, 장업계, 미용업계 등 광범위한 염모제 출시업체와 칼라에 관심이 많은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염모제 시장은 미용산업 분야 중 가장 큰 호황을 누리고 있다. 최근 3년 동안의 염모제 시장현황을 보더라도 매년 15%정도씩 고속성장해 총 1천4백억원대 규모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난 96년 약 7백억 원 규모였던 염모제 시장은 지난해 9백억대, 올해는 1천억원대를 상회하는 1천4백원대의 규모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염모제 제품의 주성분은 p-phenylenediamine(검은색), p-toluenedi- amine(갈색), meta-dihydroxybenzene(회색), p-aminophenol(붉은색 또는 갈색), meta-phenylenediamine(갈색) 등의 화학품의 혼합으로서 diamines, aminophenols, phenols 3가지로 주된 혼합체이다.

□ 인공적인 염모과정을 거치지 않고 천연의 색상을 가진 면화제품이 국내「J사」는「중국C그룹」과 비염모 천연컬러 면화인 제품을 시판하는데, 천연컬러 면화는 종자자체가 천연의 색상을 보유하고 있어 피부에 닿아도 알레르기 반응이 없고 항균력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고 한다. 또 염모과정을 거치지 않아 가공과정 중 수자원에 대한 오염이나 환경파괴물질배출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국내 제약회사에서 천연허브추출물을 함유한 두피와 모근의 혈행불량, 두피의 거칠음 등 탈모의 원인이 되는 요소를 차단하고 각종 공해로 오염된 모발을 청결하게 유지해 모근을 튼튼하게 해 줄 수 있도록 한 것을 개발했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웰빙 열풍에 힘입어 앞으로는 환경친화적인 소재에 비중을 두어서 신제품개발에 초점을 맞추어 나아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Naoshi Kitoh ; Hiroyoshi Mori ; Takumi Yama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32(10)
잡지명
Fragrance journal(J250)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48~55
분석자
이*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