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실내공기 중 화학물질대책의 현상과 과제(The state and the problem of control measures for indoor air chemicals)

전문가 제언
□ 근래 들어 새집증후군과 화학물질과민증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2003년 5월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 질 관리법을 제정하여, 실내공기 질 관리와 오염물질 방출 건축자재의 사용을 제한하도록 하고 있다.

□ 조사에 의하면, 새집 입주 시 36.5%의 가구가 증상을 호소하고 있는데, 대부분 페놀수지, 아세테이트계 단열재, 합판, 가구 등에 포함된 포름알데히드 성분이 원인으로서 장기간 실내에서 방출되며, 특히 취학 전 영 유아는 더욱 영향을 받기 쉽다.

□ 미국, 일본 등에서는 생활유해물질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권장 기준치가 마련되어 있는데, 포름알데히드는 미국 0.1ppm, 일본 0.08ppm,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TVOC)은 WHO 권고기준 0.3㎎/㎥, 일본은 0.4이다.

□ 2004년 5월 우리 환경부 실시조사 결과로는, 신축 공동주택에서 포름알데히드의 WHO 기준 초과가구는 46.7%에 달하고 있으며, TVOC도 초과가구가 61%에 이르고 있다.

□ 우리나라는 다중이용시설에서의 포름알데히드가 120㎍/㎡ 이하로 되어 있고, 아직 공동주택에 대한 기준치는 없는데, 정부에서는 2004년 5월부터 신축 공동주택의 실내공기 질 측정과 공고를 의무화시키고 있다.

□ 따라서, 측정데이터를 축적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 기준치 설정이 시급하며, 잠정적으로 WHO 기준을 먼저 채택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되고, 이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여 국민에 이해를 촉구하는 행정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저자
Hiroshi HIROSE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33(10)
잡지명
환경기술(G250)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724~729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