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주파음의 조사 진단과 방지대책(Investigation, diagnosis and countermeasures for low frequency noise)
- 전문가 제언
-
□ 환경의 여러 요인중에서 지금까지 가장 흔히 문제화 했고 검토되었으며 또한 연구대상이 된 것으로는 아마 수질환경, 대기환경 및 소음・진동의 문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며 소음・진동에 대해서는 특히 주거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점차로 대두되기 시작하여 이에 대한 규제도 점차 강화될 것으로 충분히 예상된다.
□ 주파수영역이 100Hz이하를 주된 대상으로 하는 저주파음의 공해적인 측면에서의 문제는 이 문제의 희소성과 특수성으로 인해 아직 본격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은 아니지만 이 역시 압축기나 디젤기관 및 보일러와 같은 기계장치와 댐과 같은 시설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발생 및 증폭메커니즘 뿐만 아니라 진단 및 방지대책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송풍기, 공기압축기, 대형선박의 연돌, 발전용 보일러, 대형댐 등은 우리들의 주거환경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대형기계나 시설에 대해서 거의가 공공성이 큰 점을 감안하여 사례별로 현상과 원인 및 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국가적인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 본 논문은 일본에서도 비교적 대중의 공해적인 관심이 적은 저주파음에 대한 발생원인과 조사 및 진단과 방지대책에 대하여 전문 엔지니어링회사인 INC사가 정리한 것으로 지금까지 소음・진동만을 중심으로 연구했던 분야와는 전혀 다른 차원에서 우리나라의 관심있는 엔지니어링회사나 대학 및 관련된 연구기관이 참고해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저자
- Yasuo INOU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33(10)
- 잡지명
- 환경기술(G25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771~778
- 분석자
- 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