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어린이의 건강과 실내공기 중 화학물질대책(Childrens health and countermeasures for indoor air chemicals)

전문가 제언
□ 현대인은 산업화 도시화의 영향에 따라 실내에서 생활하는 기간이 길어졌으며, 1973년 에너지 파동 이후에는 정부의 에너지절감정책에 따라 보온 및 단열강화와 건물의 기밀강화로 실내공기와 외기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서 환기부족 현상이 발생하였고, 생활수준향상에 따라 다양한 실내공간 연출을 위한 새로운 건축자재의 사용으로 각종 오염물질에 의해 실내공기오염의 초래 되어 새집증후군이란 말이 생겨났다.

□ 새집증후군의 원인물질인 화학물질의 섭취량과 미치는 영향은 어린이와 성인이 다르며, 특히 성장단계의 어린이는 외부로부터 받아들이는 화학물질에 일반적으로 민감하고 미치는 영향도 클 것으로 본다.

□ 어린아이의 행동패턴에 관한 환경성 조사에 의하면 같은 연령층의 어린이라도 나라마다 생활양식에 따라 다르며, 계절과 휴일, 평일에 따라 다르다. 특히 유아의 경우는 오염원이 있는 바닥재 가까이서 생활하므로 오염원노출에 유의해야 하며, 오염물질 농도 측정지점도 신장(키)이나 주요생활공간, 호흡기의 위치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 학교나 보육원에서 발생하는 새집증후군의 양상인 sick school의 발생요인은 학교의 재건축, 개축, 소음·대기오염방지와 에너지절약을 위한 기밀화, 알레르기성 소인의 증가 등을 들 수 있으며, sick school의 의심 발생 시 학교관계자의 지도조언이 필요하며, 신체장해나 지적장해 또는 화학물질에 과민반응이 있는 아동학생의 경우는 사전에 학교관계자와 보호자 사이에 적절한 대응책이 필요하다.

□ 새집증후군은 발생원과 오염물질농도, 오염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가 주 대상이었으나, 여기서는 어른과 어린이의 섭취량의 차이와 민감성의 차이, 행동패턴에 따른 오염원의 노출과 측정기준, sick school의 발생시의 조치와 사전대책 등 보다 구체적이며 실제적인 상황을 다룬 현실 적용성이 있는 연구로 생각된다.
저자
Iwao UCHIYAM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33(10)
잡지명
환경기술(G250)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730~735
분석자
진*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