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공기중 화학물질의 측정방법과 그 평가(Measurement and its evalua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indoor air chemicals)
- 전문가 제언
-
□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주택 등 건물의 기밀화(氣密化)나 단열이 강화되었으며 소득향상으로 인한 실내의 일용품이나 가구는 훨씬 복잡해지고 양적으로도 증가됨에 따라 여기서 배출되는 여러 형태의 VOC 물질은 인체에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 실정이고 이런 현상은 우리나라도 전혀 예외일 수 없는 수준까지 왔다.
□ 신축주택이나 주거중인 주택뿐 아니고 유치원이나 학교와 같은 공공건물에서의 VOC물질이 인체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되어야 하는 과정에서 기본적으로 중요한 것은 정밀하고 신뢰성과 재현성이 있는 시료의 채취방법과 채취된 샘플에 대한 분석방법이 표준화되어야 할 것이나 분석기기기술은 놀랄 만큼 발전하여 크게 문제가 없을 것이나 샘플이 기체이고 대단한 미량임으로 인해 샘플링방법에 대해서는 시간, 장소, 사람, 방법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날수 있는 근원적인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는 좀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또한 실내공기중의 미량화학물질함유량을 측정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쉬운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각 연구기관이나 대학에서 통일된 시료채취방법과 통일된 측정방법이 나오도록 체계를 하루 빨리 정비하는 것도 대단히 중요하다.
□ 본 내용은 일본에서의 실내 VOC물질에 대한 시료채취방법과 대표적인 분석방법을 검토회의 발표문에 기초하여 총 정리한 것으로 아직도 통일된 방법을 찾았다고 할 수는 없기 때문에 가스분석기술에 대해 세계적인 수준을 인정받고 있는 우리나라의 분석연구기관이 함을 합해 최종결론을 내려 세계의 표준화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저자
- Kiyoshi IMAMU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33(10)
- 잡지명
- 환경기술(G25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736~741
- 분석자
- 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