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변 수족원에서의 ESCO 사업
- 전문가 제언
-
□ ESCO 계약은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하여 기존 설비를 보완 또는 대체하거나 최적 운영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생기는 에너지 절감액으로 투자비를 상각하는 계약으로 ESCO 사업자가 투자하여 매년 투자비의 상각분과 이자 및 일정부분의 이윤을 ESCO 서비스 요금으로 받는 Shared Saving 계약과 건물 소유주나 기업체가 ESCO 사업자의 에너지 진단과 제안에 따라 투자한 다음 에너지 절감액의 일부를 ESCO 서비스 요금으로 지불하는 Guaranteed Saving 계약이 있다. 초기에는 Guaranteed Saving 계약이 많았지만 지금은 90% 이상이 Shared Saving 계약으로 추진되고 있다.
□ 수족원은 수족이 생육하기에 적합한 온도, 습도 및 환경을 제공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는 산업이다. 여기서 사례로 설명한 일본 Kobe시의 Shuma 해변 수족원의 경우 운영 패턴에 따라 불필요한 동력의 소비를 줄이기 위한 설비를 추가하고 최적 운전관리로 에너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변화되는데 성공한 경우이다. 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수족원이어서 시의 재정상태가 좋지 않아 매년 고액의 서비스 요금이 필요하지 않은 Guaranteed Saving 계약을 체결하였고 계약기간동안 절감한 에너지 비용에서 ESCO 서비스 요금을 납부함에 따라 수족원에도 이익이고 ESCO 사업자에도 이익인 것을 보여주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ESCO 계약이 몇 년 전부터 활용되고 있는데 아직 활발하지는 않다. 에너지 다소비 건물이나 기업에서 에너지 진단을 통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면 기업에게도 이익이고 국가에도 이익이 되므로 이 제도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Y. TAKAG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4
- 권(호)
- 13(11)
- 잡지명
- Clean energy(N25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1~27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