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음악정보 처리의 최근 연구(Recent studies on music information processing)

전문가 제언
□ 근래에 음악정보 처리의 이용이 일반화되고 대중에 크게 확대되고 있다. 예부터 연구되어 온 신호합성기로 소리를 합성하는 음악음의 합성, 데스크톱뮤직(DTM), 각종 작곡, 연주를 위한 녹음 지원 등 음악가를 위한 기술지원은 이미 실용화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 지원에 대한 것으로 음악가뿐만 아니라 일반 이용자가 직접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술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예를 들면 콤팩트디스크(CD)로부터 출력된 음향신호를 압축하고 개인의 계산기로 많은 악곡을 쉽게 처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1만곡 이상을 휴대형 music player에 넣어서 언제나 또 어디서도 가볍게 들을 수 있게 된 것이다.

□ 이러한 경향이 생기는 배경으로 먼저 소형 계산기의 하드웨어의 진보(처리속도의 향상 및 메모리, 하드디스크의 소형대용량화)와 인터넷의 보급 및 음향기기의 입출력장치 표준화, 값싼 공급을 들 수 있다. 더욱더 1992년에 규격화된 MP3가 1990년대 후반부터 보급되었고 이용자로부터의 수요에 응하는 것이 사업이 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흐름은 2000년도 전반에 새로 가속화되어 음악의 압축방식이 나타났고 인터넷을 이용하여 음악을 배급하는 기업도 계속하여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 특히 이러한 시점에 메타정보의 이용은 음악정보 처리의 활용을 더욱 활발하게 하고 있다. 듣고 싶은 음악을 정확히 찾아 낼 수 있어 이용자의 요구에 직접 응함으로 아주 편리하다. 악곡의 작곡자나 연주자의 정보, 악곡에 대한 청취자의 기호(嗜好) 등 메타정보를 악곡 청취나 추출에 활용하는 것이 활발해지고 있다. 앞으로 전산기의 소형화와 소프트웨어의 발전은 더욱 이 분야의 발전을 가속화 할 것이다. 정보통신 분야에서 관심을 가져야 할 분야이다.
저자
Masataka Goto ; Keiji Hirat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4
권(호)
60(11)
잡지명
일본음향학회지(L142)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675~681
분석자
양*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