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기의 소리 발생 원리(Recent topics in musical acoustics)
- 전문가 제언
-
□ 관악기의 발음 원리를 McIntyre-Schmacher-Woodhouse 모델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함과 동시에 최근의 연구 성과를 설명하였다. 관악기가 소리를 내는 원리는 리드의 기계 진동과 호흡 공기의 유체 역학 및 악기의 음향 공명이 관계된다. 많은 경우에 이들은 1차원 모델로 쉽게 설명된다. 음향 공명을 제외한 다음 단계로는 기계적 진동과 유체 역학에 관한 다차원 모델이 필요하게 될 것이다. 근래에 계측 기술 발전과 계산기의 시뮬레이션 기술의 발달로 현상을 다차원적으로 파악하고 재현하는 것이 쉬워지고 있으므로 좀더 사실적 접근이 가능해질 것으로 본다.
□ 클라리넷 등 관악기의 발음 원리를 베르누이의 법칙을 이용하여 수식적으로 모델화한 것은 공학적으로도 평가받을 만하다. 그러나 음악적인 요소인 음색이나 화음에 대해서는 언급이 전혀 없이 단순 발음에만 치중하는 기계적인 접근이 과연 이 모델화가 의미를 갖는지는 연구해 보아야 할 것이다. 발음 원리를 보다 깊게 추구하는 것은 무엇을 어느 정도 밝힐 것인가 목표 설정을 명확하게 함과 동시에 현상의 본질을 바라보는 물리적 관찰력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 저자
- Seiji Adac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60(11)
- 잡지명
- 일본음향학회지(L14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657~662
- 분석자
- 양*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