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나노미터 영역의 계측

전문가 제언
□ 제품을 생산하는 나노 영역의 접근법에는 Top-Town형과 Bottom-Up형이 있다. Top-Town형 접근방법은 정밀 가공, 초정밀 가공의 제품을 생산하는 분야이다. Bottom-Up형의 접근방법은 화학 반응의 제어나 세포의 성장 제어의 진화로 본다. 제품의 제조와 관련해서 계측도 결국 Top-Town형의 테크놀로지로 나노 영역과 접근하게 되어 이 보고서에서는 이런 관점에서 계측의 현상과 과제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 공작기계의 진화에 의해서 20세기 말에 초정밀 가공의 가공 정밀도 한계가 1nm에 달한 만큼 Top-Town형 나노테크놀로지는 매우 중요시 되었다. 원자상을 측정하는 STM/AFM(주사형부로-부현미경)도 최신 장비로 측정하지만, 계속 연구할 과제이며 우리나의 벤처기업 SNU의 측정 장비가 세계적인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다.

□ 나노 물질과 나노 기술은 Bottom-Up 기술이 성공 여부를 좌우한다. 표면적 대 부피 비가 커짐에 따라 최종 물질에 영향을 주는 입자의 크기, 입도 분포, 입자의 형태, 결성 구조, 화학적 성분 및 미세 구조를 조정해서 원하는 나노 물질을 얻을 수 있다. 이 상호작용에 관련한 현상을 규명하는 기술이 우리나라 산업에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 우리나라 나노 분야 발전은 논문 수에서 세계 6위지만 측정장비 및 의료 분야에 성공적으로 활용되고 있어 발전 속도는 가속화할 것 같다. 21세기는 NT 기술이 화두가 되고 있다. 20세기에 양자역학이 정립되면서 물질의 미시적 거동을 이론적으로 이해하게 되었고 IT, BT, NT와 더불어 발전되고 있다. 금, 은, 금속산화물입자와 같은 나노 와이어, 나노 막대, 메소기공물질, 나노 복합물질, 나노 하이브리드, 탄소 나노 튜브 등이 나노산업의 주류가 되고 있다.
저자
Kiyono Satos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4
권(호)
89(10)
잡지명
전기평론(D076)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15~22
분석자
한*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