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여기 STM에 관한 TiO2 표면광 흡수 위치의 관찰(Observation of Photon Absorption Sites on TiO2(110) Surface by Photoexcited STM)
- 전문가 제언
-
□ 이 자료는 최근에 상장된 SNU벤처 기업의 나노 형상 측정 장비와 같이 STM(주사 터널 현미경)의 높은 공간 분해능과 광의 에너지와 시간분해능을 종합화하여 극한 영역의 물성을 측정하는 기술로 최근에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 반도체 표면에 광이 상호작용을 하면 반도체 여기 중의 전자가 여기되고 그 결과 광 전력이나 광촉매 현상 등이 발생된다. 이 전자 여기는 주기 퍼텐셜로 가정하고 무한의 결정 구조를 가정한 밴드 모델로 설명된다. 밴드 채플 이상의 에너지를 가지는 광자의 흡수에 의해서 가전자대의 전자가 전자대에 여기되면 가전자대는 정공이 형성하고 전기적으로 평형이 된다.
□ UV 광의 조사에 의해서 공준위가 증가하는 요인으로 UV 광 여기에 의해서 가전자대가 생성한 공공을 열거할 수 있다. 암 상태에서는 탐침에서 터널 전자는 TiO2의 전도대에 흘러들어 갈 수 있지만 UV 광조사 하에서는 가전자대가 생성하고 공공에 흘러들어 간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UV 광조사의 경우에는 TiO2 표면의 전역에서 볼 수 있는 구조가 높기 때문에 광전류가 관찰되는 것은 SPV의 영향과 더불어 효과가 있다고 생각한다.
□ STM의 많은 발전에 급급하지 않고 광여기 사이트의 동정과 같은 문제가 주목되는 것은 흥미가 있고, 이와 같은 점을 착안하는 것은 고체의 전자 상태를 이해하는 주기 퍼텐셜의 시점과 촉매 반응과 같은 국소장의 시점에서 동시에 이와 같은 계를 볼 수 있은 장치의 개발이 멀지 않아 도래하리라고 생각한다. 한국에서의 기대는 나노 형상 측정 장비의 상장으로 이런 분야에서 많은 벤처기업의 활성화로 미래 산업에 전망이 있다고 생각한다.
- 저자
- Masaharu KOMIYAM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46(7)
- 잡지명
- 촉매(L18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70~575
- 분석자
- 한*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