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능 광섬유 센서 개괄(Overview of high performance fibre-optic sensing)
- 전문가 제언
-
□ 광섬유 간섭계 센서는 높은 감도와 넓은 대역폭, 높은 다이내믹 레인지가 필요한 고성능 센서 시스템으로 적합하다. 지난 25년 동안 광섬유 간섭계 센서 기술은 기초 실험실 수준에서 군사용 소나 시스템으로까지 크게 발전하였다. 또한 계속적으로 성능 개선과 신뢰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가격도 저하되고 있어 광섬유 간섭계 센서는 고성능 센서로 더욱 널리 쓰이게 될 것이다.
□ 간섭형 광섬유 센서의 국내 시장은 아직 성숙 단계에 이르지 않고 있으나, 최근 광섬유 센서가 안정화, 간소화, 고성능화, 다중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고, 최근 몇 년간의 대형 구조물 붕괴 사고 등으로 대형 건축 구조물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상당수의 특허가 출원되고, 논문이 발표되는 등 최근 들어 연구기관, 대학 및 기업체 연구소에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분포 계측/배열형 센서를 응용한 스마트 구조물용 센서 시스템, 지능형 도로 구조물용 시스템, 사면 감시 시스템, 침입 감지 시스템 등에 대한 관심이 점차 고조되고 있다. 군사용 수중 시스템도 국내에서 개발 되는 등 이 분야의 기술 발전이 최근 들어 크게 이루어지고 있어 민간 분야로의 기술 이전도 필요하다. 광섬유 센서 시장은 연구 개발 단계를 거쳐 현재 시장을 형성하는 단계로, 광섬유 센서 기술 분야의 여러 가지 장점으로 기존 시장을 대체하고 신규 수요를 창출, 상당한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여 기존 센서 시스템의 성장 속도를 앞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이 분야의 정책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 광 센서와 연관성이 깊은 계측기기의 국내 시장 규모를 살펴보면, 2000년 4조 7,970억 원(수입 64.9%)으로 내수시장이 크게 형성되어 있으나, 수입 의존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 특히 광센서 분야의 수입 증가는 반도체 및 광통신 산업의 선진화와 고급 센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기술 수준 미약으로 공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광 센서 관련 계측기 분야도 정책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한 분야이다.
- 저자
- Kirkendall, CK; Dandridge, 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4
- 권(호)
- 37(18)
- 잡지명
- JOURNAL OF PHYSICS D-APPLIED PHYSIC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97~216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