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라디칼과 노화 (Free radicals and aging)
- 전문가 제언
-
□ 자유라디칼이 인간 생화학을 악화시킨다는 개념은 세균을 발견한 이래 가장 큰 진보이다. 자유라디칼은 노화경로에만 관여하는 것이 아니고 암, 심장병, 관절염 등 세균에 의한 것이 아닌 80여 가지 질병에 연관되어 있다. 자유라디칼 이론은 생체의 연령이 늙어감에 따라 그리고 여러 나쁜 생리적 변화가 축적됨에 따라 일어나는 노화를 죽음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정의한다. 적어도 4가지의 노화 이론이 생물적 노화의 이유를 설명한다. 자유라디칼 노화 이론, 미토콘드리아의 노화 이론, cross-link 노화 이론, 세포막 노화가설 등이 이들이다.
□ 생체 내에서 생성되는 산화제에는 4가지 발생원이 있다. 자유라디칼과 산화제의 주 발생원은 산소를 사용하는 미토콘드리아의 ATP 에너지 생성이다. 미토콘드리아 내의 약 2-3%의 산소가 부주의로 초과산화물(superoxide) 라디칼을 생성하며 이것이 차례로 과산화수소, 수산화 라디칼 그리고 타 모든 라디칼을 생성한다. 둘째 산화제 특히 과산화수소의 근원은 지방산을 분해하는 소기관인 과산화소체이다. 셋째는 시토크롬 P450 효소이다. 이 효소는 세포를 도와 폐와 간에 있는 독성 가능성이 있는 음식, 약물 그리고 환경오염 분자들을 해독한다. 초과산화물이 이들 해독반응의 부산물이다. 마지막으로 백혈구 세포는 산화제 혼합물로 세균을 공격한다. 이 혼합물은 초과산화물, 과산화수소, 산화질소 라디칼, HOCl 그리고 수산화 라디칼 등이며 이들이 자유라디칼 문제 를 야기한다.
□ 인간 실험으로 자유라디칼/산화손상 그리고 노화의 상관관계를 밝혀냈는데 25세에서 93세까지의 사람의 66개 근육 조직검사 샘플에서 DNA, 지방 그리고 단백질의 산화손상 표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8-hydroxy-2-guanosine(DNA에 산화손상 표지), malondialdehyde (MDA), 지방 과산화 지표 그리고 단백질 carbonyl 그룹, 단백질 산화의 지표들이 연령-의존 증가를 보였다. 이 결과들이 인간 노화에 있어서 산화손상의 역할을 보여주는 증거들이다. 다행히도 이러한 산화현상에 대처하고 자유라디칼과 산화제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그 한 가지 오래된 방법은 음식의(칼로리) 제한이다.
- 저자
- Barja, G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27(10)
- 잡지명
- TRENDS IN NEUROSCIENC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595~600
- 분석자
- 이*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