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풀에서의 핵 비등 열전달(Nucleate pool-boiling heat transfer)

전문가 제언
□ 2상 유체(2 phase frow)의 연구는 80년에 걸쳐서 연구되어 왔으며, 특히 원자력발전소의 가동 이래로 원자력발전소의 사고에 대비하여 활발히 연구가 진행된 사항이지만 현재까지 하나의 종합적인 해결을 바라보지 못하는 영역에 속한 학문이다.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한마디로 열전달계수(HTC)의 규명에 있는데, 현 과학수준으로는 이의 총제척인 규명은 어려운 상태에 있으며, 영향을 주는 파라미터들의 개별적인 특성을 조사하는 단계에 있다.

□ 본 논문은 2상유체중의 하나인 풀의 핵-비등열전달에서 파라미터들이 HTC에 주는 영향을 분리효과시험을 통하여 조사․분석한 내용인데, 그 중에서도 표면미세구조의 영향으로서 증기기포 생성센터의 생성에 관한 것에 중점을 두고 설명을 하고 있다.

□ Mikic와 Rohsenow는 증기기포 생성센터의 개수를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는데, 이 개발을 위하여 그들은 3번의 가정을 설정하였다. 그런데 가정이라고 하는 것은 오차를 가져오게 마련이다. 한 번의 가정으로 약 10%의 오차가 있다고 가정하더라도 전체로서 30%의 오차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그들의 결론을 사용하기에 앞서 이 30% 또는 그이상의 오차를 감안하여 그들의 주장을 수용할 필요가 있다.

□ Mikic와 Rohsenow는 또 식(4)는 qb, △T, Db, fb 및 n은을 측정함으로서 그 정확성이 증명되었다고 기술하고 있는데, qb가 어떻게 측정되는 것인지 의심스럽다. 아마 이것은 인쇄의 잘못으로 돌리고 싶다.

□ mikic와 Rohsenow는 식(8)인 r에 관한 식을 아무런 근거제시도 하지 않은 채 발견하였다고 하였는데, 이 식이 어떻게 유도되었는지의 언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Fritz는 Db에 대하여 새로운 상관 식을 식 (9)와 같이 제시하였는데, 이를 뒷받침하고자 하는 여러 과학자의 실험이 서로 모순된 결과를 가져 오는 것으로 판단하여, θ의 측정에 아직도 정확성이 충분치 않다고 생각되는데, 필자는 θ의 정확한 값을 측정하는 것은 실제적이 아니라고 언급 하였다. 그러나 측정기기의 발달로 말미암아 참 θ의 값이 측정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으며, 그러면 비등열전달의 큰 발전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기타의 파라미터가 HTC에 주는 영향에서는 좀 더 세부적인 실험과 관찰을 통한 상세한 기술현황이 되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저자
Pioro, IL; Rohsenow, W; Doerffer, SS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4
권(호)
47(23)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Heat and Mass Transfer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5033~5044
분석자
이*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