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결정 금속산화물을 사용한 광전기화학 및 광변색장치에 응용되는 색소의 설계(Design of molecular dyes for application in photoelectrochemical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nanocrystalline metal oxide semiconductors)
- 전문가 제언
-
□ 최근 화석자원인 석유나 석탄의 고갈은 장래의 인류문명을 크게 위협하고 있어서 다양한 대체에너지의 개발이 모색되고 있으나, 어떠한 자원일지라도 지구상의 자원은 유한적이며 또 여러 가지 부작용을 동반하므로 최종적인 에너지 문제의 해결책은 찾기 어렵다.
□ 원자력에 의한 에너지 획득에는 방사성 물질의 생산이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기타 풍력이나 지열, 파도에 의한 에너지 획득은 지역적인 제한이 있어 에너지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 특히 최근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각종 전자기기 컴퓨터(노트북), PDA, 핸드폰, 디지털 카메라 등은 소형 휴대화 경향으로의 발전이 뚜렷하며 이에 따라 이들 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소형 밧테리의 개발은 아주 시급한 실정이다.
□ 그러나 태양 에너지는 거의 무한이라 할 수 있으며, 또 공해 등의 문제가 없으므로 앞으로 21세기에 클린 에너지원으로 크게 기대를 갖고 있어, 현재 선진 각국에서는 태양 에너지를 인간이 사용하기 쉬운 전기에너지로 바꾸기 위한 활발한 연구 개발이 국가적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다. 현재 태양전지는 실리콘 웨이퍼의 1단계 발전을 넘어 나노 입자의 금속산화물 박막에 의한 태양전지의 개발 단계에 들어와 있다고 할 수 있다.
□ 그러므로 무한한 에너지원이라 할 수 있는 소형 태양전지의 개발은 우리나라의 각종 전자산업과 IT산업에는 절대적으로 요청되는 발전분야이며 또 화석 에너지가 전무한 우리로서는 대형 에너지원으로서의 태양력 발전시설의 개발이 요청된다 하겠다.
□ 결론적으로 21세기를 맞아 선진도약을 목표로 하는 우리로서는 화석 에너지에 의존도를 내리고 에너지 자급율을 높이면서 우리가 고도의 성장을 기대하는 전자 관련 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제2세대 태양전지의 연구 개발에 국력을 집중해야 한다고 믿는다.
- 저자
- Argazzi, R; Iha, NYM; Zabri, H; Odobel, F; Bignozzi, C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248(13-14)
- 잡지명
- Coordination Chemistr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299~1316
- 분석자
- 마*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