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의 플라스마 처리-기본적으로 천연섬유(Textile plasma treatment review - Natural polymer-based textiles)
- 전문가 제언
-
□ 플라스마 가공은 사용하는 캐리어가스의 종류, 처리 온도, 진공도 등에 따라서 많은 종류의 물질들이 혼합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정확한 조성적인 해석에는 약간의 문제점이 있으나,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면, 모, 견섬유 등에 처리하면 친수성기의 생성을 통한 습윤성, 염색성 등의 개선은 쉽게 달성된다.
□ 플라스마 처리에 의한 그래프트 중합은 일반적인 화학 중합에 비하여 효율적이고, 균일한 제품을 얻을 수는 있으나 실제로 생산적인 측면에서 배치 시스템에서 연속 공법의 가능성이 적어 효과만큼 생산의 가능성이 적다고 판단된다.
□ 따라서 완제품만을 목적으로 하기보다는 중간 제품에서 표면의 변화, 예로서 필름에 코로나 방전 가공 등을 통한 접착성능의 개선 등과 같이 일단 처리를 한 후, 다음 공정에서 접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중간 제품에 적용하는 용도에 집중적인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 천연섬유를 중심으로 상당히 많은 개선에 대한 사례가 보고 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개선은 습식으로 처리하여도 그 기능은 달성이 되므로, 플라스마를 응용하기 위하여는 습식처리법과는 분명히 차별이 되는 기능을 잘 선별하여야 한다. 그 기준으로는 첫째, 기능에서 월등한 효과가 있는가, 둘째 처리를 하므로 얻어지는 부가가치가 플라스마 공법을 사용하는 데 드는 비용을 충분히 보상하는가, 셋째 플라스마 장치는 습식가공에 비하여 고정비용이 크므로, 몇 가지의 제품을 같이 처리할 수 있는가 하는 것 등이다.
- 저자
- Kang, JY; Sarmadi, M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4(10)
- 잡지명
- AATCC REVIEW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8~32
- 분석자
- 임*산
- 분석물
-